부산시는 지역내 245개의 지하수 보조관측망을 이용해 지하수의 수질과 수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지하수의 급격한 수질 악화와 수위 변동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특히 온천수 사용량이 많은 동래구·해운대구 지역의 지하수 수위 변화 추이도 확인이 할 수 있어 온천수의 효율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한 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또 보조관측망 이상 현상 등을 즉각 파악해 기기 오류를 줄여 데이터의 신뢰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부산시 관계자는 “지하수는 한번 수질 악화나 고갈이 되면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라며 “이번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지하수 보전과 관리를 더욱 체계화하게 됐다”고 말했다.
공천 개입 혐의를 받는 김건희 여사가 검찰의 공식 소환 통보를 거부하면서 검찰 셈법이 복잡해졌다. 차기 대통령 선거가 임박했고, 김 여사 역시 ‘정치 중립’을 불출석 사유로 들고 있는 만큼 검찰이 6·3 대선 전 김 여사를 강하게 압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대선이 끝나면 ‘특검론’에 힘이 붙을 가능성이 커 검찰로서는 이를 마냥 미루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검찰이 선거 직후 강제수사 카드를 꺼내 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여사 측 변호인은 지난 13일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 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앞서 명태균 게이트 관련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김 여사에게 14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통보했다. 김 여사는 2022년 대선에서 명씨에게 여론 조사 결과를 받은 대가로 같은 해 국회의원 보궐 선거에서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하고 별도로 지난해 총선에도 영향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