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일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특검법 발의를 유보하는 등 ‘사법부 선거개입’ 의혹 대응 수위 조절에 나섰다. 법원이 전날 이재명 대선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을 6·3 대선 후로 연기하며 사법 리스크가 일단락되자 강경 대응 기조에서 한발 물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대선 국면에서 당이 사법부와 전면전에 나서는 것에 대한 당내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 인근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 대법원장 특검법 발의 유보 이유에 대해 “지금 사법부 내부에 비판과 자정 능력이 있는 것 같다”며 “일단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박 위원장은 “행정부는 국무위원 누구도 대통령 계엄을 말리지 못했지만 사법부는 전국 법관들이 실명으로 (조 대법원장) 사퇴 요구를 하는 등 사법부 신뢰와 독립성 유지를 위해 스스로 움직이고 있다”며 “우리가 바로 (조 대법원장) 고발 등을 하기보다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다만 전날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 간 단일화 문제가 차마 눈 뜨고 쳐다볼 수 없는 지경이다. 급기야 8일 국민의힘 지도부와 친윤석열계는 ‘후보 교체’ 카드를 꺼냈고, 김 후보는 ‘법적 분쟁’을 예고하며 맞섰다. 내란 방조자들끼리, 국민 다수가 혀를 차는 이런 ‘막장 단일화’를 왜 하겠다는 건지 묻게 된다.국민의힘 지도부는 전날 두 후보의 담판 결렬 후 ‘8일 양자 토론, 8~9일 여론조사,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 단일후보 확정’ 일정을 내놨다. 김 후보가 불응하면, ‘상당한 사유가 있을 시’라는 당헌 특례규정을 적용해 한 후보로 단일화할 뜻을 숨기지 않은 것이다. 김 후보는 이날 “저를 끌어내리려는 강제적 후보 교체 작업”이라며 후보 등록 후 단일화 방식을 역제안했다. 이에 ‘친윤’ 권성동 원내대표가 “알량한 대통령 후보 자리를 지키려는 한심한 모습”이라고 일축했고, 김 후보는 당 지도부의 전국위원회·전당대회 소집에 맞서 ‘대선 후보 지위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