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테크노밸리제일풍경채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운명이 시계제로(0) 상태로 돌아갔다.
26일 홈플러스 등에 따르면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는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이 이날 오후 3시 마감됐다.
앞서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는 인공지능(AI) 플랫폼 전문기업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개발업체인 스노마드 2개 업체가 제출한 바 있다.
매각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입찰 참여 기업의 제출 서류를 검토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한 뒤 서울회생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이날 최종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 만큼 홈플러스의 인수·합병은 원점으로 돌아갔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테러수사대는 27일 업비트 해킹 정황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내사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사이버테러수사대는 이날 언론 보도를 통해 해킹 사실을 인지했으며, 현재 운영사인 두나무를 상대로 현장조사를 진행 중이다.
두나무는 이날 오전 4시42분쯤 “약 540억원 상당의 솔라나 네트워크 계열 자산 일부가 내부에서 알 수 없는 외부 지갑으로 전송된 정황을 확인했다”고 공지했다.
업비트는 즉시 모든 자산을 콜드월렛(오프라인 개인지갑)으로 옮기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금융당국에 신고했다. 이날 오전부터 디지털 자산 입출금도 전면 중단했다. 회사 측은 “이번 유출로 인한 손실액은 업비트 보유 자산으로 전액 보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비트에서 대규모 자산 유출이 발생한 것은 2019년 11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당시 580억원 상당의 암호화폐가 빠져나갔는데, 경찰 수사에서 북한 대남공작기구인 정찰총국 산하 해킹 조직 ‘라자루스’의 소행으로 확인됐다.
일본 도쿄도가 호텔과 여관 이용객에게 부과하는 숙박세를 대폭 개편해 사실상 100% 이상 인상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26일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도쿄도는 현행 1박당 100~200엔(약 940~1880원) 정액제로 운영되는 숙박세를 투숙료의 3%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쿄도는 2002년 10월부터 숙박세를 징수해왔다. 현재는 1박 요금이 1만엔(약 9만4000원) 이상 1만5,000엔(약 14만1000원) 미만일 경우 100엔(약 938원), 1만5000엔 이상이면 200엔(약 1880원)을 부과한다.
숙박세가 투숙료 3%로 바뀔 경우 1박 1만5000엔짜리 호텔 투숙 시 숙박세가 기존 200엔에서 450엔(약 4200원)으로 뛴다.
다만 도쿄도는 수학여행, 업무출장 등으로 도쿄를 찾는 사람들을 고려해 숙박세 면제 대상을 1만엔 미만에서 1만5000엔 미만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도쿄도는 민박 이용객에게도 숙박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요미우리는 관광객 급증으로 관련 비용이 늘어난 것이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도쿄도의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관광 관련 예산은 306억엔(약 2877억원)인 반면, 숙박세 수입은 69억엔(약 649억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요미우리는 “정률제는 경기 변동과 물가 상승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외국계 고급 호텔의 높은 숙박료에도 적절히 과세할 수 있다”면서도 “고객으로부터 세금을 걷어야 하는 숙박업체의 부담은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쿄도는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내년 3월까지 조례 개정안을 도의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일본에서 정률제 숙박세는 홋카이도 니세코 인근 굿찬초가 2019년 11월 처음 시행했으며, 오키나와현도 내년 4월 도입을 준비 중이다. 굿찬초는 투숙료의 2%를 징수하고 있다.
올해 1~10월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은 전년 동기 대비 17.7% 증가한 3554만명을 기록했다. 연간 방문객 수는 처음으로 4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