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캠피싱해결 최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의 측근들을 둘러싼 부패 의혹이 잇달아 제기되면서 정부가 내세운 부패 척결 공약이 추진력을 잃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안와르 총리는 26일(현지시간) 전날 뇌물 수수 의혹이 제기된 샴술 이스칸다르 모드 아킨 정치 비서관의 사임을 수락했다. 그는 “정부는 투명성과 청렴이라는 원칙을 굳건히 지킬 것”이라며 반부패위원회에 “외압 없는 즉각적 수사”를 지시했다.
앞서 현지 매체 말레이시아키니는 샴술 비서관이 ‘사바주 광산 스캔들’에 연루돼 있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최근 사바주는 광산 채굴 허가를 두고 고위 관료와 사업가 간 대가성 뇌물이 오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스캔들의 핵심 인물로 지목돼 온 사업가 앨버트 테이의 주장에 따르면, 샴술 비서관은 허가 취득에 든 비용을 돌려받도록 도와주겠다며 인테리어 공사비, 가죽 소파·세탁기·건조기·안마의자 등 물품과 35만링깃(약 1억2400만원)의 현금을 요구했다. 테이는 샴술 비서관이 요구한 물품을 정리한 문건이 약 300쪽에 달한다고 했다. 보도 직후 샴술 비서관은 사임을 발표했다.
이 의혹은 안와르 총리의 또 다른 정치 비서가 부패 의혹에 휩싸인 지 수 일 만에 불거졌다. 아마드 파들리 샤리 국민연합 의원은 안와르 총리의 정치 비서 중 한 명이 지난해 병원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해 계약업체 명단이 적힌 서한을 보건부에 보냈다고 주장했다. SCMP는 서한에 포함된 6개 업체 중 4곳이 자격 미달 업체였다고 전했다.
총리 측근을 둘러싼 부패 의혹이 잇따르자 정치권에서도 비판 목소리가 이어졌다. 집권 인민정의당(PKR)의 웡 첸 의원은 샴술 비서관을 겨냥한 듯 “나는 세탁기도 건조기도 내가 직접 샀다. 가구도 내 돈으로 마련했고, 집수리비도 내가 냈다”며 “안마의자도 없다”고 밝혔다. 타키유딘 하산 야당 원내총무는 “부패·권력 남용·정치자금 비리를 근절하겠다던 정부의 모든 공약이 무너질 수 있다”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2022년 말 취임한 안와르 총리는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하며 “최상층 부패를 뿌리 뽑겠다”고 강조해왔다. 그는 성역으로 여겨졌던 마하티르 빈 모하맛 전 총리 일가와 측근을 상대로 고강도 수사를 벌였다. 그러나 지난 5월 그의 딸인 누룰 이자 안와르가 PKR 부대표로 선출되며 ‘연줄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안와르 총리 역시 과거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다.
제임스 친 호주 태즈매니아대 아시아학 교수는 “말레이시아 중산층 상당수는 부패를 정치의 ‘상수’로 여긴다”면서도 “총리 최측근이 연루된 이상 안와르 총리가 어떻게 방어할지 모르겠다”고 SCMP에 말했다.
서울숲 인근 옛 삼표레미콘 성수공장 부지가 최고 79층의 업무·주거 복합시설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지난 26일 열린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이런 계획이 포함된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 및 삼표레미콘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상지는 2022년 시와 사업자 간 합의로 공장을 철거한 뒤 사전협상제도를 통해 복합개발 방안을 마련해 온 곳이다. 시는 삼표레미콘 부지가 성수지역 업무 기능 강화로 지역 거점이 될 잠재력이 있다고 보고 2022년 말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했고, 지난 2월 최종협상 결과를 통보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삼표레미콘 부지는 최고 79층 규모의 업무·주거·상업기능이 복합된 시설로 조성된다. 미래 업무 중심기능 확보를 위해 전체면적의 35% 이상을 업무시설로 확보하도록 했다. 상업기능과 주거시설은 40% 이하 범위에서 도입하기로 했다.
사전협상 결과 확보한 총 6054억원 규모의 공공기여는 서울숲 일대 상습 정체 해소를 위한 기반시설 조성과 지역 일자리 확충을 위한 ‘유니콘 창업허브’ 등의 조성에 투입된다. 이 밖에 성동구 몫 488억원, 서울시 몫 1140억 원 등 현금 공공기여도 확보해 지역 환경 개선 등에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개발 과정에서 삼표레미콘 부지와 서울숲을 연결하는 입체 보행공원을 조성해 녹지 축을 확대하고, 삼표레미콘 부지 내 조성되는 녹지 공간도 상시 개방해 시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안은 이번 수정가결 사항을 반영한 재열람 공고를 거쳐 내년 1월 중 결정·고시할 예정이다. 이후 건축심의와 인허가 절차를 마치는 대로 이르면 2026년 말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 결정으로 삼표레미콘 부지가 성수지역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업무복합단지로 조성되고, 공공기여 활용을 통해 서울숲 일대 연계성 등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