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대형로펌 홍콩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큰불이 나 최소 44명이 숨졌다.
AP통신, 로이터통신 등은 26일(현지시간) 오후 2시 52분쯤 홍콩 북부 타이포 구역의 고층 아파트 단지인 ‘웡 푹 코트’에서 불이 났다고 이날 보도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존 리 행정장관은 27일 새벽 “현장의 화재는 기본적으로 통제됐다”며 “화재로 (소방관 포함) 최소 44명이 사망하고 45명이 위중한 상태”라고 말했다. 내부에 갇힌 것으로 추정되는 279명이 실종된 상태다.
소재 파악이 안된 인원이 많은데다 고층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주민들이 있어 인명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화재가 난 단지에는 약 2000가구, 4800여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숨진 소방관과 희생자 가족에 위로를 표했으며 피해 최소화를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당국은 이번 화재 이후 이날 오후 6시 22분쯤 경보 단계를 최고 등급인 5급으로 격상했다. 5급 경보는 4명이 사망하고 55명이 다친 2008년 몽콕 나이트클럽 화재 이후 처음이다. 현장에는 소방차 128대와 앰뷸런스 57대가 동원됐다.
불은 4개 동으로 번졌으며, 홍콩 당국은 관광버스를 투입해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인근 학교 건물 등이 임시 대피소로 개방됐으며 약 700명이 수용됐다.
화재가 난 건물은 1년 넘게 대규모 보수 공사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벽에 설치된 대나무 비계와 공사용 안전망으로 불이 번지면서 대형 불기둥이 치솟았다. 대나무 비계는 홍콩의 건설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홍콩 정부는 안전 문제로 인해 공공 프로젝트에서 대나무 비계 사용 금지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올해 초 밝힌 바 있다고 AP는 보도했다. 일부 주민들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화재경보기가 불이 났을 때 작동하지 않았다면서 한밤중이었으면 더 큰 피해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경찰은 과실치사 혐의로 이사 2명과 엔지니어링 컨설턴트 1명 등 공사업체 책임자 3명(전원 남성)을 체포해 조사 중이다.
대한항공이 기내식 용기를 20여년 만에 친환경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은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오는 12월 순차적으로 도입해 2026년말까지 확대 적용한다고 25일 밝혔다.
신규 기내식 용기는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든 비목재 펄프 소재로 제작된다. 비목재 펄프는 나무를 벌목하지 않고 생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데다 고온에 장시간 노출돼도 변형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대한항공은 새 기내식 용기로 바꿀 경우 1개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6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기내식 용기는 항공기에서 제공되는 주요리를 담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석 고객을 위한 한식·양식 메인 요리 용기로 활용될 예정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기내식 용기 개편은 장기적으로 환경 보전과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라며 “글로벌 항공업계의 탈탄소·ESG 경영 트렌드에 발맞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항공업 특성에 맞는 ESG 경영을 다양하게 실천하고 있다. 2023년에는 포크 등 일회용 플라스틱 커트러리를 대나무 소재로 변경하고, 표백 펄프를 사용했던 냅킨을 무표백 대나무 소재로 바꿨다. 또 승무원이 사용 후 반납한 유니폼을 의약품 파우치로 재활용, 사용이 어려운 기내 담요를 보온 물주머니로 만드는 등 업사이클링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