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7~9월) 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1년 전보다 전체 계층 중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 7월부터 지급된 전 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저소득층의 소득과 지출을 늘려 소득 분배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 3분기 월평균 가구소득은 543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3.5% 증가했다. 공적 이전소득이 40.4% 늘어 가계소득 증가를 주도했는데, 지난 7월부터 두 차례 지급된 전 국민 소비쿠폰 효과라고 국가데이터처는 설명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가계의 실질 소득은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400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0.7% 늘었다. 이 중 주택 임대료·대출이자 등 경직성 비용을 뺀 소비지출은 294만4000원으로 1.3% 증가했다.
특히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 소득과 지출 증가율이 가장 크게 늘었다. 1분위 가구의 3분기 월 평균 소득은 131만3000원으로 1년전보다 11%, 소비지출은 138만6000원으로 6.9% 늘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에서 소득은 1158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0.4% 늘었으나, 소비지출은 497만3000원으로 되레 1.4% 감소했다.
올해 2분기와 비교해도 1분위 가구의 소득은 10.0%, 소비지출은 6.3% 늘었다. 1분위 가구에서 소득은 전체 분위 중 가장 크게 늘었고, 소비지출은 두 번째로 많이 늘었다. 반면 5분위 가구에서는 2분기보다 소득은 7.8% 늘었는데, 소비지출은 0.6% 느는 데 그쳤다. 5분위 가구는 소비지출 증가율이 전체 분위 중 가장 낮았다.
소득분배 지표인 5분위 배율은 개선됐다. 3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07배로, 1년 전(5.69배)보다 0.62배 낮아졌다. 이는 2020년 2분기(5.03배) 이후로 5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소득이 상위 20%(5분위)의 평균 소득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소득분배가 개선됐다는 뜻이다.
다만 소비쿠폰 등 추가경정예산 집행에도 3분기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1년 전보다 0.7% 뒷걸음질쳤다. 지난해와 달리 추석 연휴가 10월로 늦어지면서 3분기 식료품·여행 지출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소비쿠폰 영향으로 외식 등 식사비는 1년 전보다 4.6% 늘었으나, 숙박비는 4.1% 줄었다.
첫 방송에서 해녀 물질에 도전했던 정석희 PD가 이번에는 제주로 향한다. 26일 방송되는 EBS 1TV 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제주 해녀’들 사이 전설로 통하는 ‘대상군’ 해녀를 만나고, 이들과 함께 가을 제주의 별미인 소라 1t 잡기에 도전한다.
정 PD는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 어촌계에서 최초의 여성 어촌계장이자 ‘제주해녀협회’ 회장인 장영미 계장을 만난다. 해녀는 물질 실력에 따라 상·중·하군으로 나뉘는데, 장 계장은 상군 중에서도 특출난 ‘대상군’ 해녀다.
정 PD는 지칠 줄 모르는 해녀들을 따라 물질에 나서보지만 금세 체력이 고갈되고 만다. 이에 장 계장은 PD를 위한 특별강의에 나선다. 깊은 바다일수록 돌과 소라를 구분해내기 힘들지만, 대상군의 비결을 배우고 나니 하나둘 소라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이날 4시간의 물질 끝에 정 PD와 10여명의 어촌계 해녀들은 1.2t에 달하는 소라 잡기에 성공한다. 해녀들은 소라 1t으로 얼마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오후 10시45분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