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년재판변호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내국인의 해외투자에 대해 ‘유행처럼’ 커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환율이 상승 방향으로 쏠리면서 서학개미의 해외투자도 늘고 있는데, 쏠림현상이 꺼질 경우 투자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취지다. 최근 외환당국이 국민연금과 환율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며 적극적인 환헤지(환율변동 회피)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총재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투자자의 해외투자가 유행처럼 커지는 것이 걱정하고 있다”며 “(환 위험에 대한) 위험관리가 되고 있는지, 해외로 나갈때 금융시장에서 환율변동에 대한 지도가 되는지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환율이 상승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원화의 약세 요인이라고 봤다. 이 총재는 “최근 환율 변동성보다 너무 한 방향으로 쏠려가고 있고, 내국인의 해외주식투자에 의해 주도되는 측면이 우려된다”며 “이전엔 달러가 강세가되고 다른 통화가치 같이 움직이는 경향있는데 원화가 절하되는 모습을 보여서 쏠림현상과 관계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환율 수준이 높아지더라도 과거와 같은 외환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 총재는 “환율이 높아짐에 따라 물가가 오르면 저소득층이 피해를 보지만, 장부가로 해외투자 수익률은 높게 유지되는 상충관계 많은 상황”이라면서도 “과거 외채가 많았을 때와 달리 시장에서 금융위기를 얘기하지 않는 것처럼 외환시장 불안은 없다”고 밝혔다.
최근 정부가 국민연금과 환율 관련 논의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선 “국민연금을 동원하는 것은 아니다”며 국민연금발 환율 영향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우리나라는 국민연금 운용자산이 해외와 달리 확 올라갔다 내려가는 특이한 구조가 있다”며 “환율이 절하될땐 원화표시 수익률이 커보이지만 (해외에서 자금을) 가져올땐 절상 압력이라 수익률이 낮아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의 노후자산을 보호하려면 장부가로 수익률 높다고 해서 노후자산 커지는게 아니라, 헷지도 해서 수익률 확보하는게 중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의 환헤지도 적극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민연금이 어느선까지 가면 헤지가 진행될 것이다, 헤지를 풀 것이다라고 패가 다 까있다”며 “해외 투자자도 다 알고 있어 환율을 조정하는 입장에선 굉장히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연금 내에서도 환 헤지를 할 여력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선 잘못해서 손실이 생기면 책임을 묻고 잘하면 보상이 없어서 쓰지 않는다”며 “환율 수준따라 신축적으로 변할 수 있는 전략적 모호성을 갖추고 중장기적 제도 개선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에 대해선 “민간이 해외로 많이 자금을 가지고 나간다면 나라 전체의 최적 포트폴리오를 고려해야 되고 거시적 영향도 고려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며 “(국민연금 투자가) 거시경제 영향을 무시하기엔 규모가 너무 커졌고 외환 부작용도 커졌기 때문에 한은과 기재부 등 4자협의 통해 제도 개선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 영화 ■ 댄싱퀸(OCN 무비즈 오전 7시30분) = 어릴 적 댄스 가수를 꿈꾸던 정화는 한때 ‘신촌의 마돈나’라는 별명으로 불렸지만, 인권 변호사인 정민과 결혼한 뒤로는 평범한 주부로 살고 있다. 어느 날, 딸의 조언으로 댄스 오디션을 보러 다니던 정화는 ‘댄싱퀸즈’라는 그룹에 발탁된다. 그러나 남편 정민이 별안간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선언하고, 정화는 비밀리에 댄싱퀸즈 활동을 이어간다.
■ 예능 ■ 유 퀴즈 온 더 블럭(tvN 오후 8시45분) = 배우 명세빈, 특수청소부 엄우빈 등이 출연한다. 드라마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에서 김 부장의 아내이자 든든한 조력자 박하진 역으로 호평을 얻은 명세빈은 작품 속 배역을 연구한 방법을 공개한다. 고독사, 자살, 자연재해 등으로 생을 마감한 사람들의 집을 청소하는 엄우빈은 일하며 느끼는 삶과 죽음 사이의 이야기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