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흥신소 전남 순천만에 서식하는 흑두루미에 대한 연구 결과가 국제전문학술지(SCIE)에 등재됐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PLOS ONE’에 지난 12일 게재됐다. 흑두루미 관련 연구가 국제저널에 실린 것은 국내 최초다. 지난 20일 기준 우리나라의 흑두루미 도래 개체 수는 8180마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순천시는 23일 “이번 연구는 순천시가 추진해온 먹이 제공 정책과 서식지 관리가 두 종의 안정적 공존을 가능하게 한 핵심 요인임을 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순천만 흑두루미는 탐조대 기준 100~150m까지 접근했다. 최근에는 소규모 무리가 70m 거리까지 내려와 안정적으로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특히 희망농업단지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먹이활동을 이어가고 있어 순천만의 서식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순천시는 흑두루미 위치추적 연구를 통해 이동 경로, 먹이활동 범위, 휴식 패턴 등 정밀한 생태 데이터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축적된 자료는 향후 국제협력 확대와 세계유산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연구에 참여한 이주현 전남대학교 박사는 “순천만은 그 자체로도 보전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지만, 흑두루미 종 보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지닌 곳”이라며 “20여년간 순천만을 찾아온 흑두루미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이번 사례는 국내외 철새 보전 정책 수립에 매우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크리스마스를 한 달여 앞둔 23일 가자시티 서부의 알샤티 난민촌의 파괴된 건물 위로 루돌프 인형이 나타나자 팔레스타인 난민 어린이들이 손을 흔들고 있다. 이날 열린 ‘가자 어린이 영화 축제’에서는 야외에 설치된 대형 TV를 통해 미국 만화영화 <톰과 제리>가 상영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