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불법촬영변호사 국회의원을 비롯해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두 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로 조사됐다. 특히 10채 중 약 3채는 서울 주택이고, 이 가운데 41%는 강남 3구에 있다.
리더스인덱스가 선출·임명된 4급 이상 고위직 공직자 2581명의 가족 재산 공개 내역을 18일 분석한 결과, 절반 가까이 되는 48.8%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했고, 17.8%는 세 채 이상을 소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재산(5조7134억원)의 58.7%인 3조3556억원이 건물 자산이었고, 이 중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였다. 가액으로 따지면 2조3156억원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665채(58.9%)로 절반 이상이며, 가액은 1조7750억원(76.7%)에 달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등의 순이었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자체장이 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 연구기관 공직자가 각 1.71채 수준이었다. 국회의원은 평균 1.41채를 보유했다.
지역은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 3구’에 집중됐다.
고위공직자 등이 보유한 서울 소재 주택은 1344채(29.7%)로, 높은 집값이 반영되면서 가액이 1조3338억원(57.6%)에 달했다.
서울 내에서는 강남구(229채), 서초구(206채), 송파구(123채) 등 이른바 강남 3구가 전체의 41.5%를 차지했다. 용산구(74채)가 뒤를 이었다.
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공직자는 총 42채인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었다. 본인 명의 강남구 아파트 1채, 고양시 오피스텔 38채, 속초시 오피스텔 1채와 배우자 명의 강남구 복합건물 2채다.
국회의원 중 최다 보유자는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관악갑)으로 13채를 가졌다. 배우자 공동 명의 서초구 아파트 1채와 관악구 오피스텔 11채, 충남 당진에 있는 본인 명의 복합건물 1채다.
매년 국내에서 가장 이른 시즌 시작을 이어온 휘닉스 스노우파크는 오는 11월 21일 개장을 확정했다. 개장 30주년을 맞아 다양한 혜택 역시 발표했다.
휘닉스는 “이번 주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제설 작업을 본격화해 지난해보다 8일 빠르게 문을 연다”며 “개장일에는 현장 구매 리프트권이 권종과 관계없이 3만원 균일가로 제공된다”고 밝혔다.
또한 개장 당일 호크 슬로프에서는 오프닝 이벤트가 진행되고, 스키하우스에서는 ‘개장빵 이벤트’가 준비됐다. 선착순으로 제공되는 포춘쿠키에는 호텔 파티스위트 숙박권, 리프트권, 블루캐니언· 스노우빌리지 입장권 등 10여 종의 경품이 랜덤으로 포함됐다.
19일 오후 1시부터 20일 오전 10시까지 이틀간 시즌패스 타임세일도 진행된다. 완판됐던 1차 시즌패스 판매가로 컴포트 플러스와 시그니처 시즌패스를 다시 구매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휘닉스 공식 인스타그램에서는 개장을 기다리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댓글 이벤트가 진행 중이다.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Insta360 X5’ 카메라를 증정한다.
전윤철 휘닉스 파크 총지배인은 “30주년을 맞은 25/26 시즌은 안전한 슬로프 관리와 안정적인 운영을 최우선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오랜 시간 함께해주신 고객들과의 추억을 다시 나누고 새로운 기억을 더 할 수 있는 뜻깊은 시즌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