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마그라구입 미국이 러시아와 협의해온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에 우크라이나도 협의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은 여전히 멈추지 않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남부 자포리자 지역을 공습해 최소 5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 이반 자포리자 주지사는 불길에 휩싸인 건물과 잔해로 무너진 건물이 담긴 사진을 온라인에 공개했다.
동부 전선에서도 러시아군 진격이 이어졌다.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은 이날 “우크라이나 동부 하르키우주의 주요 도시 쿠피안스크가 해방됐다”며 “오스킬강 좌안에 포위된 우크라이나군 부대들을 계속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군복을 입고 러시아군 서부군의 한 지휘소를 찾아 직접 보고받았다.
이러한 전황 속에 우크라이나는 미국·러시아가 비밀리에 협의해온 종전 계획 협의에 참여할 의사를 공식화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앞서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방문한 댄 드리스컬 미 육군장관과 만난 뒤 “진정한 평화를 위한 조건을 논의했다”며 향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종전 계획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를 두고 “전쟁 종식을 위해 양측과 좋은 대화를 하고 있다”며 “(종전 계획은) 러·우 모두에게 좋은 계획”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미국 온라인 매체 액시오스는 미·러 고위 인사들을 인용해 양국이 총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을 수 주간 비밀리에 협의해왔다고 전했다. 초안은 우크라이나 평화체제, 안전보장, 유럽 안보, 미·러·우 3국의 미래 관계 구상 등 4개 범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노동당국이 시공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20일 울산경찰청은 노동자 7명이 숨진 이번 사고와 관련해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함께 시공사인 HJ중공업 본사 등 6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과 근로감독관 등 50여명은 이날 오전 9시부터 HJ중공업 본사와 사고 현장 사무소 등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다.
부산노동청과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 사고가 발생한 보일러타워의 해체 작업 과정에서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 등을 살필 계획이다.
노동당국은 원·하청 간 작업지시 관계와 작업 공법, 안전 관리체계 등을 면밀히 확인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항이 확인될 경우 엄정하게 책임을 물을 예정이다.
지난 6일 오후 2시2분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 규모의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당시 현장에 있던 노동자 9명 중 7명이 매몰돼 모두 숨졌다.
당시 보일러 타워 해체를 위한 사전 취약화 및 방호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이 공사는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해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았으며, 발파전문업체인 코리아카코가 도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