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간녀소송 미국 정부는 러시아와 비밀리에 협의해온 러·우크라이나 종전 계획을 우크라이나와도 논의 중이며, 양국 모두에게 좋은 계획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지난주 스티브 위트코프 미 대통령 중동특사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우크라이나 측 인사들과 만나 종전 계획을 논의했다”며 “이것은 러·우 모두에게 좋은 계획”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위트코프 특사와 루비오 장관이 이 평화 구상과 관련해서 한 달간 조용히 일해왔다”며 “러·우 모두와 접촉하며 양측이 수용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한 의견을 수렴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사안이 현재 진행형이고 유동적”이라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 구상안에 대해 보고 받았고, 지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종전 계획이) 양측 모두에게 수용 가능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댄 드리스컬 미 육군장관의 회담에 관해 “우리는 그(드리스컬 장관)와 통화했으며 그는 회담 후 매우 낙관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전쟁 종식을 위해 양측과 좋은 대화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엑스에 올린 글에서 “진정한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을 논의했다”며 “우크라이나와 미국으로 구성된 ‘우리 팀’은 종전 계획의 조항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도 성명에서 “젤린스키 대통령이 며칠 내로 트럼프 대통령과 이 계획의 주요 내용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미 온라인 매체 액시오스는 18일 미·러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양국이 총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을 수 주간 비밀리에 협의해왔다고 보도했다. 초안은 우크라이나 평화체제, 안전보장, 유럽 안보, 미·러·우 미래 관계 구상 등 4가지 범주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졌다.
한편 종전 계획안이 비밀리에 협의돼 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유럽 측은 반발하고 나섰다.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27개국 외교장관 회의 시작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어떤 종전 계획이든 우크라이나와 유럽인들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러시아의 양보에 관해 어떤 것도 듣지 못했다”고 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성장 잠재력 제고를 위해서 예측 가능한 무역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제1세션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며 “세계무역기구(WTO)의 기능 회복은 우리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주제로 열린 정상회의 제1세션에 참석해 “격차와 불평등을 완화하고 함께 잘 사는 길로 가기 위해서 3가지 해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 완화, 다자무역체제 기능 회복, 개발협력 효과성 제고를 글로벌 포용 성장을 위한 해법으로 꼽았다.
이 대통령은 먼저 “개발도상국의 경우 과도한 부채 부담으로 성장을 위한 투자 여력이 제한돼 지속 가능 성장의 동력이 약해지고 있다”면서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에 자원을 집중해 부를 창출하고 부채 비율을 줄이는 선순환 구조로 경제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개도국의 ‘부채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면서 “대한민국은 인공지능(AI) 등 미래 성장분야에 투자해 총생산을 늘리고 장기적으로 부채비율 감소를 도모하는 ‘성과중심의 재정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예측 가능한 무역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WTO 기능 회복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WTO의 기능 회복은 우리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대한민국은 내년 아프리카에서 개최되는 WTO 각료회의의 성공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또한 대한민국이 선도해 온 ‘투자원활화 협정’이 내년 WTO 각료회의에서 공식 협정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개도국 개발 효과 극대화를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여러 나라가 참여해 지역 개도국들의 개발을 지원하는 다자개발은행을 언급하면서 “앞서 대한민국은 ‘다자개발은행 개혁 로드맵 평가·보고 체계’ 채택을 주도한바 있다”며 “앞으로도 이런 개혁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