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불법촬영변호사 정부가 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와의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한 국제투자분쟁(ISDS) 중재판정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 신청 사건에서 승소했다. 법무부는 사실상 최종승소를 했다고 보면서도 론스타가 다시 중재신청을 할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8일 정부종합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정부는 오늘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의 론스타 ISDS 취소위원회로부터 ‘대한민국 승소’ 결정을 선고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중재판정부는 2022년 8월 한국 정부가 론스타에게 2억1650만달러를 배상하라고 판정했다가 정정신청이 제기돼 이듬해 5월 2억1601만달러로 조정했다. 법무부는 2023년 9월 ICSID에 판정부의 명백한 권한 유월(월권), 절차규칙의 심각한 위반, 이유 불기재를 이유로 판정 취소신청을 제기했다. 론스타 측도 같은 해 7월 배상액이 너무 적다며 판정 취소 신청을 냈다.
한국이 이번 분쟁에서 승소했지만 론스타와의 다툼이 완전히 종결된 것은 아니다. 론스타 측이 중재신청을 다시 제기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법무부는 론스타의 2차 중재신청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 처음 중재신청을 신청할 때는 투자협정에 명시된 기간 내에 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었는데 2차 중재신청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 때문에 법무부는 이번 결정 세부 내용을 분석하면서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다만 한번 중재신청을 제기할 때 드는 비용이 수백억원대에 달하는 만큼 론스타가 이를 감수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게 본다.
법무부는 19일 오후 브리핑을 열어 향후 절차, 한국 정부의 승소 요인, 론스타의 2차 중재 제기 가능성을 설명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 동북부 국가인 수단의 내전 상황 안정화를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수단에서 엄청난 잔혹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며 “그곳은 지구상에서 가장 폭력적인 장소가 됐고 동시에 가장 큰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했다. 식량, 의사, 그 밖의 모든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아랍 지도자들, 특히 방금 미국을 떠난 사우디아라비아의 높이 존경받는 왕세자(무함마드 빈 살만)는 ‘지금 수단에서 벌어지는 일을 즉각 멈출 수 있게 대통령직의 힘과 영향력을 사용해달라’고 내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단은 위대한 문명과 문화를 가진 것으로 여겨지지만 불행히도 지금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그리고 다른 중동 파트너들과 함께 잔혹 행위를 중단시키고 동시에 수단을 안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1956년 독립 이후 잦은 내전과 정치 불안을 겪은 수단에서는 2023년 4월부터 정부군과 반군인 신속지원군(RSF) 사이에 내전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내전으로 지금까지 수만 명이 숨졌고, 피란민은 1200만명에 이른다.
미국 정부는 지난 9월 사우디, UAE, 이집트 등과 수단 평화 계획에 합의하고, 수단 정부군과 RSF가 이를 수용하도록 설득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수단 군부 수장이 이끄는 주권위원회도 협조 의사를 밝혔다. 수단 주권위원회는 이날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를 향해 “수단의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감사하다“며 ”수단 국민이 염원하는 평화를 이룩하기 위해 두 국가와 진지하게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