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 |||||
|---|---|---|---|---|---|
| 작성자 | (211.♡.145.106) | 작성일 | 25-11-21 20:01 | ||
| 콜백서비스업체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당원 주권 시대를 열겠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진행하고 있는 당헌·당규 개정 추진에 대해 지도부 내에서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오늘(21일) 민주당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오는 24일 열릴 당무위원회에 부의해 개정 절차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해당 개정안에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하도록 규정하는 조항을 삭제하는, 즉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의 가치를 같게 하는 이른바 '1인 1표제'를 추진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습니다.그런데 최고위원회의 오늘 비공개 논의 과정에서, 복수의 지도부 인사들이 이 절차를 곧바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오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SBS에, "당원들이 문제 제기를 하고 있고 전 당원 여론조사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볼 때 반대 분위기가 있으니 숙고를 좀 더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그런 의견을 제시한 최고위원들이 상임위 참석 등을 이유로 자리를 비운 사이 의결이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당원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른바 '취약 지역'들의 목소리를 대의원제가 보완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번 개정 방향이 사실상 대의원제를 폐지하는 식으로 큰 변화를 주는 것인 만큼 급하게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 비공개 최고위 회의에서 나왔는데, 그런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셈입니다.또 다른 인사 역시 "일부 최고위원들이 자리에서 먼저 일어나면서 보완 대책에 대해 논의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이런 이의 제기가 있었지만, 민주당은 예정된 절차를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진행을 하되 더 보완할 수 있는 내용은 대의원 역할재정립TF를 구성해 향후 반영해 나가기로 했습니다.민주당 관계자는 SBS에, "당헌·당규 개정 내용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 게 아니라 얼마라도 숙의 기간을 갖자는 취지의 의견이었다"면서 당헌·당규 개정안에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 역시 오늘 최고위원회의가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당원 주권 시대를 열겠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진행하고 있는 당헌·당규 개정 추진에 대해 지도부 내에서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오늘(21일) 민주당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오는 24일 열릴 당무위원회에 부의해 개정 절차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해당 개정안에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하도록 규정하는 조항을 삭제하는, 즉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의 가치를 같게 하는 이른바 '1인 1표제'를 추진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습니다.그런데 최고위원회의 오늘 비공개 논의 과정에서, 복수의 지도부 인사들이 이 절차를 곧바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오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SBS에, "당원들이 문제 제기를 하고 있고 전 당원 여론조사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볼 때 반대 분위기가 있으니 숙고를 좀 더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그런 의견을 제시한 최고위원들이 상임위 참석 등을 이유로 자리를 비운 사이 의결이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당원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른바 '취약 지역'들의 목소리를 대의원제가 보완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번 개정 방향이 사실상 대의원제를 폐지하는 식으로 큰 변화를 주는 것인 만큼 급하게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 비공개 최고위 회의에서 나왔는데, 그런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셈입니다.또 다른 인사 역시 "일부 최고위원들이 자리에서 먼저 일어나면서 보완 대책에 대해 논의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이런 이의 제기가 있었지만, 민주당은 예정된 절차를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진행을 하되 더 보완할 수 있는 내용은 대의원 역할재정립TF를 구성해 향후 반영해 나가기로 했습니다.민주당 관계자는 SBS에, "당헌·당규 개정 내용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 게 아니라 얼마라도 숙의 기간을 갖자는 취지의 의견이었다"면서 당헌·당규 콜백서비스업체 |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