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용접 더불어민주당이 당 지도부 선거와 지방선거 후보 공천에서 일반 당원들의 표심 반영을 대폭 강화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전당원투표에 부친다. 정청래 대표가 전당대회 때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며 내건 당원주권시대 공약 이행을 본격화한 것이다. 영남을 비롯한 민주당 약세 지역의 당심 반영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 대표의 당대표 재선 포석이라는 평가도 있다.
정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의 당권은 당원에게 있고 모든 당권도 당원으로부터 나온다”면서 “내년 실시되는 6·3 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전당원투표 실시 계획을 밝혔다. 지난달 당비를 낸 전국 권리당원 165만명을 대상으로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당헌·당규 개정에 찬성하는지 19~20일 온라인 투표로 묻는다.
당 지도부인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선거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률을 동등하게 바꾸는 내용이 담겼다. 권리당원 1명이 행사하는 투표권 가치를 대의원 1명 투표의 ‘20분의 1 미만’으로 정한 현행 당헌 규정을 삭제해 권리당원 표심 반영을 대폭 강화했다. 정 대표는 “국회의원도 1표, 대의원도 1표, 당원도 1표”라고 말했다. 이른바 ‘전당대회 1인 1표제’는 정 대표가 당대표 선거 때 내놓은 첫 번째 공약이다.
광역단체장 등 모든 지방선거 후보자 예비경선을 실시해 권리당원 투표 100%로 본경선 진출자를 가려내는 규정을 신설한다. 당 차원의 일방적인 컷오프(공천 배제)를 없애고 예비후보자검증위원회 심사를 통과한 후보자가 4명 이상이면 예비경선을 할 수 있다. 6명 이상일 경우 조를 나눠 예비경선을 치른다. 본경선에 진출하면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한 투표를 진행하며 결선투표도 도입한다.
지방선거 광역·기초자치단체 비례대표 의원 후보들 순위 역시 권리당원 100% 투표로 정하는 내용도 개정안에 포함됐다. 현재는 각 지역의 당 상무위원들이 비례대표 후보 순번을 정하고 있다. 정 대표는 “몇몇 힘 있는 인사가 공천권을 좌우하던 폐습을 끊어내고 당원이 당 후보를 공천하는 열린 공천 시대”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당 현안에 대한 권리당원들의 의견 표명과 참여가 활발해지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영남과 같이 민주당세가 약한 지역의 당원들 목소리에 가중치를 뒀던 대의원의 영향력 약화에 따른 문제를 점검·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 영남권 의원은 통화에서 1인 1표제에 대해 “오랜 기간 대의원 제도 운영을 지켜봐온 입장에서 아쉬움이 있다”며 “전체적인 흐름을 거스르기는 어렵지만 정책적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한국노총과 전략 지역에 대한 배려는 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책적 배려를 통해 충분히 반영하겠다”며 보완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전당원투표 참여 대상 권리당원을 ‘올해 10월 당비 납부자’로 한정한 데 대한 우려도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에 “그동안 당원투표 기준은 거의 대부분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이었다”며 “갑작스러운 기준 변경은 자칫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정 대표에게 재고를 요구했다.
이번 당헌 개정은 열성 당원을 지지 기반으로 삼는 정 대표의 내년 당대표 재선 포석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정 대표의 집권 연장 꿈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정 대표가 지난 6일 초선의원 모임에서 “민주당 지지 성향으로 봤을 때 딴지일보의 흐름이 민심을 보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고 말한 내용이 알려졌다. 딴지일보는 김어준씨가 운영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로 정 대표를 지지하는 강성 지지층이 다수 분포해 있다고 평가된다.
정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해외 순방 시작 당일 전당원투표를 띄우며 또다시 자기 정치를 하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앞선 이 대통령 순방 때도 정 대표가 개혁 의제를 제시하며 외교 성과를 가린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 영화 ■ 광해: 왕이 된 남자(OCN 무비즈 오후 2시20분) = 조선 광해군 8년, 붕당정치와 권력 다툼으로 인해 조정은 혼란스럽다. 목숨을 위협받고 있다는 두려움으로 점점 난폭해져가던 왕은 도승지 허균에게 자신 대신 위험에 노출될 대역을 찾게 한다. 이에 허균은 왕과 똑같은 외모를 한 만담꾼 하선을 궁으로 데려온다. 어느 날 갑작스럽게 왕이 쓰러지고, 하선은 왕을 대신해 국정을 다스리게 된다.
■ 예능 ■ 유 퀴즈 온 더 블럭(tvN 오후 8시45분) = 배드민턴 선수 안세영, 배우 김민진·김하영, 대학생 김민겸 등이 출연한다. 세계 배드민턴 챔피언 안세영은 외로움과 부상을 견디며 느낀 것을 진솔히 전한다. 23년간 일요일 아침을 열었던 <신비한TV 서프라이즈>의 김민진·김하영은 마지막 촬영 비화를 공개한다. 세계 퀀트 투자 대회의 한국인 최초 우승자 김민겸은 특별한 투자 전략을 밝힌다.
한국교회인권센터는 제39회 한국교회 인권상 수상자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봉쇄에 맞선 구호단 ‘가자로 향하는 천 개의 매들린 선단’(Thousand Madleens To Gaza) 소속 평화활동가 김아현씨(27·활동명 ‘해초’)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인권센터는 김씨가 “한국인 최초로 팔레스타인 가자 구호선단에 참여해 전쟁과 봉쇄의 현실 속에서도 생명과 인권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아 비폭력 인도주의 항해를 실천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10대 시절부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밀양 송전탑 반대 시위 등 다양한 인권, 평화 운동에 참여했다. 올해 ‘천 개의 매들린 함대’ 소속 구호선단에 탑승한 김씨는 지난달 이스라엘군에 배가 나포된 뒤 현지 교도소에 수감됐다가 이틀 만에 풀려나기도 했다.
시상식은 다음달 4일 서울 종로구 소재 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열린다.
한국교회 인권상은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상’으로 1987년 시작됐으며 ‘NCCK 인권위원회’가 작년에 ‘한국교회 인권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한국교회 인권상’으로 이름을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