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팔로워 구매 ‘아는 맛’이 무서울 때가 있습니다. 분명 몇 번이고 봤던 드라마인데, 자꾸 손이 가는 콘텐츠가 있기 마련이죠. 시트콤은 이 분야의 권위자라 할 만합니다. 짧고 많은 회차 동안 쉴새 없이 사고를 치는 등장인물들에 정이 들어버려서일까요. <순풍산부인과>, <거침없이 하이킥> 등을 여전히 돌려 보는 이들이 많습니다.
옛 시트콤의 맛을 잊지 못하는 건 우리만의 일은 아닙니다. 미국에는 <오피스>와 <프렌즈>가 있거든요. 2018년 한 리서치 업체가 넷플릭스 전체 콘텐츠 조회 수의 7.19%가 <오피스>를 보는 데, 4.13%가 <프렌즈>를 보는데 쓰였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을 정도입니다.
옛 시트콤 애호가들이 오래 버텨준 덕택일까요. <오피스>가 종영하고 12년이 흐른 2025년 9월, 그 유전자를 그대로 물려받은 모큐멘터리(다큐멘터리로 가장한 픽션) 시트콤이 NBC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피콕에 공개됐습니다.
<오피스>(The Office)가 제지 회사 ‘던더 미플린’의 미국 펜실베니아 스크랜튼 지점의 직원들을 카메라에 담았다면, 새로운 스핀오프 시리즈 <더 페이퍼>(The Paper)는 종이가 아닌 ‘신문’을 만드는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합니다. 미국 오하이오의 지역지 ‘트루스텔러’ 사무실이 배경이죠. 이곳은 던더 미플린과도 연관이 있는 곳입니다. 던더 미플린을 2019년에 합병한 제지회사 에너베이트의 자회사 중 하나라는 설정이거든요.
‘진실을 말하는 이들’이라는 거창한 이름에 비해 트루스텔러는 사실 신문사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입니다. 수십 년 전에는 수백 명이 근무하며 진실만을 좇았던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같은 층을 쓰는 화장지 사업팀의 눈칫밥을 먹는 골칫덩이죠. 제대로 된 기자는 없고, 구독하고 있는 AP 등 통신사의 가십 기사로 지면을 채울 정도로 망가진 곳입니다.
<더 페이퍼>는 다 쓰러져가는 지역 신문사에 열정 넘치는 편집장 네드(도널 글리슨)가 부임하며 벌어지는 소동을 담습니다. 임시 편집장을 맡았던 에스메랄다(사브리나 임팍치아토레)에게 ‘쓸데없는 짓’을 벌이려는 네드는 눈엣가시죠. 사실상 기자 경험이 있는 직원이 한두 명일 뿐이라는 걸 알게 된 네드는 ‘일단 어떤 직군이든 기사를 쓰고 싶으면 오라’고 부탁합니다. 네, 다음부터는 손발 안 맞는 오합지졸의 난장판이 벌어지죠.
저 또한 신문사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더 페이퍼>의 오프닝은 이보다 웃플 수 없습니다. <오피스> 오프닝을 연상케 하는 잔잔한 배경음에, 신문을 읽기보다 신문으로 접시를 싸고, 음식 깔개로 쓰고, 구기고 버리는 온갖 합법적 훼손 장면이 나열됩니다. 신문보다는 종이로서의 쓸모를 다하는 ‘페이퍼’의 모습입니다.
촬영부터 웃음 설계까지 <오피스>를 그대로 이식한 작품입니다. 직원들의 사회생활이 탑재된 (거짓) 리액션을 관찰자적으로 담다가, 그 속내를 인터뷰 컷으로 삽입해 웃음을 자아내는 게 똑 닮았습니다. 반가운 얼굴도 있습니다. 던더 미플린 회계팀 직원 오스카(오스카 누녜즈)가 트루스텔러로 옮겨와 일을 하고 있던 건데요. 제작진을 마주치자마자 “9년이나 따라다녔으면 됐지, 더는 안 한다”고 벌컥 화를 내는 깨알 같은 포인트도 있습니다.
네드도 시청자처럼 트루스텔러가 처음인 만큼 그가 사무실에 녹아들 때까지, 또 시청자들이 캐릭터들에 정감을 느낄 때까지 예열 시간이 필요하기는 합니다. 그래도 30분으로 짧은 한 편, 한 편을 보다 보면 슴슴하니 계속 이어 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분명 처음 보는데 알던 맛이라서일까요. 반가우면서도 심심하고, 궁금하면서도 알 것 같은 묘한 매력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쿠팡플레이에서 시즌1(총 10회)을 볼 수 있습니다. 시즌2 제작도 확정됐습니다.
오합지졸 지수 ★★★★☆: 네드가 첫날 도망가지 않은 게 수상할 정도
밥친구 지수 ★★★★: 짧아서 후루룩 후루룩
중국 외교부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유사시 대만 개입’ 발언을 문제 삼으며 주중 일본대사를 초치했다.
중국 외교부는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쑨웨이둥 부부장(차관)이 전날 가나스기 겐지 주중 일본대사를 초치해 다카이치 총리의 중국 관련 잘못된 언행에 관해 엄정한 교섭을 제출(외교 경로를 통한 항의)했다”고 밝혔다.
쑨 부부장은 “다카이치 총리가 최근 국회 답변 때 공공연하게 대만 관련 노골적인 도발 발언을 발표하면서 대만해협 문제에 무력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했는데 이는 성질과 영향이 극도로 나쁘다”며 “중국이 여러 차례 엄정한 교섭을 했지만 일본은 여전히 뉘우칠 생각이 없고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기를 거부했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는 전했다.
그러면서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은 극도로 나쁘고 위험하며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한 것”이라면서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심각하게 파괴했고 중국 인민의 감정을 심각하게 상처 입혔다. 14억 중국 인민은 이를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 중에서도 핵심이고, 손대서는 안 되는 레드라인”이라며 “대만은 중국의 신성한 영토이고 대만 사무는 순전히 중국 내정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쑨 부부장은 “80년 전 용감한 중국 인민은 14년 혈전을 거쳐 일본 침략자를 물리쳤다. 80년이 지난 오늘 누구든 어떤 형식으로든 감히 중국의 통일 대업에 간섭하려 든다면 중국은 반드시 정면으로 공격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중국은 일본이 역사적 죄를 심각하게 반성하고 즉각 잘못을 시정하며 악성 발언을 철회하고 잘못된 길을 더 멀리 가지 않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모든 나쁜 결과는 일본이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신화통신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은 중국 외교부가 가나스기 대사를 초치했다는 보도자료 발표 시각이 이날 오전 2시56분이라며 심야에 초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의)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존립위기 사태라고 판단되면 일본은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 역대 일본 총리 중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처음으로 언급한 셈이다.
다카이치 총리가 해당 발언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되고 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불장난하는 자는 반드시 불에 타 죽을 것”이라며 거친 표현을 사용하면서 일본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