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구독자 구매 지난 15일 발생한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패션 물류센터 화재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16일 충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소방관 150여명과 소방차·진화 장비 80여대가 투입돼 잔불 정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한 불길에 장시간 노출된 건물 골조 일부가 붕괴하면서 내부 진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소방당국은 외부에서 방수포를 이용해 분당 최대 7만5000ℓ의 물을 집중 살포하며 진압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벽면 외부 전도 우려로 주변 지역과 화재 현장 일대는 경찰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큰 불길은 화재 발생 약 9시간30분 만인 전날 오후 3시31분쯤 잡혔다. 이후 오후 7시30분 대응 2단계가 해제됐고, 16일 오전 9시51분 대응 1단계도 모두 해제됐다.
충남소방본부 관계자는 “내부에 쌓여 있던 신발·의류 등 대량의 적재물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완진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물류센터는 2014년 7월 준공된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연면적 19만3210㎡(축구장 27개 규모)에 달하는 초대형 시설이다. 화물차 150대가 동시 접안 가능하며, 일일 최대 5만 박스·연간 400만~500만 박스를 처리하는 물류 거점이다. 소방당국은 당시 의류 등 1100만개 넘는 물품이 보관돼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건물 전체가 전소된 상태로, 보관 중이던 의류·신발 등 상당량이 불에 타 막대한 재산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재는 15일 오전 6시8분쯤 지상 4층에서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4층 선반에서 시작된 불이 빠르게 확산돼 아래층으로 번진 것으로 보고 있다. 신고 접수 7분 만에 대응 1단계가 발령됐고, 약 50분 뒤 대응 2단계로 격상됐다. 이후 장비 150대와 인력 430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이 진행됐다.
업무 시작 전 발생한 화재여서 인명피해는 없었다. 당시 근무 중이던 경비원 등 직원 3명은 스스로 대피했다.
충남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내부 안전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데다 건물 붕괴가 급속도로 진행돼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유해가스 발생 물질 제거 시 대기오염물질을 상시 측정하고, 전기·가스 차단에 따른 주변 기업 2차 피해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마지막 실종자가 14일 발견됐다. 사고 발생 9일만에 끝내 주검으로 돌아왔다. 이번 사고 매몰자 7명 중 생존자는 없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9시 57분께 사고 현장인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김모씨(62)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구조대는 이날 중장비로 잔해 상부를 걷어내고 내부를 확인하는 수색 작업을 반복하던 중 오후 8시49분쯤 김씨의 위치를 확인했다. 이후 주변 철 구조물을 잘라내며 접근한 지 1시간여 만에 김씨의 시신을 잔해 외부로 옮겼다.
앞서 지난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는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해 당시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다.
차박텐트가 연결된 차량에서 부부가 숨진 채 발견됐다.
18일 오후 2시 36분쯤 태백시 혈동 태백산 유일사 탐방로 입구 주차장에서 “차박텐트가 연결된 차량에서 모터 소리만 들리고 안에 있는 사람은 인기척이 없다”라는 119 신고가 들어왔다.
출동한 소방 당국은 차 안에서 이미 숨져있던 50대 A씨와 40대 B씨를 발견했다.
차량 뒤편에서는 차박용 발전기도 함께 발견됐다.
부부인 A씨와 B씨는 전날 저녁 태백산 일대에서 차박 캠핑을 하다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해 이들이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인을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