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법무법인 “수능 대박” “떨지 말고 잘 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지는 13일 오전 7시 30분 경기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 앞. 운동복과 같은 편한 복장을 한 수험생들이 힘찬 응원을 받으며 하나둘 수험장으로 들어갔다. 다소 쌀쌀한 아침에 수험생들은 패딩이나 두꺼운 외투를 걸친 모습이었다.
교문 앞에는 각계에서 나온 이들이 “수능 대박” “무조건 합격”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수험생을 응원했다.
가족의 응원을 받으며 입실하는 수험생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한 어머니는 수험생 아들을 마지막으로 끌어안으며 “우리 아들 떨지 말고 잘 보고 와”라고 말했다. 아들은 “잘 보고 올게”라고 말하며 활짝 웃어 보였다.
수험장으로 들어서는 자식의 뒷모습이 못내 아쉬워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어머니도, 자식이 수험장으로 들어간 뒤에도 한참을 담장에 붙어 떠나지 못하는 부모도 있었다.
한 학원 선생님은 자신의 몸집만 한 커다란 가방에 따뜻한 캔커피를 가득 채워 왔다. 그는 도착한 수험생들의 얼굴을 확인했다. 자신의 제자가 보이면 캔커피와 함께 “시험 잘 보고와”라는 응원의 말을 건넸다.
올해 수능은 1교시 국어영역, 2교시 수학영역, 3교시 영어영역, 4교시 한국사 및 탐구(사회·과학·직업)영역, 5교시 제2외국어·한문영역 순으로 진행된다. 일반 수험생 기준으로 오전 8시40분에 시작해 오후 5시45분에 마친다.
이날 수능에는 7년 만에 가장 많은 수험생이 응시한다. 올해 수능 지원자는 55만4174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1504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겨울철 대설·한파에 따른 시설물 붕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무거운 눈(습설)에 대한 예보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대설 재난문자 발송을 시범 운영한다.
정부는 이런 내용의 ‘2025~2026년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을 마련해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15일까지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겨울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대체로 적겠으나, 우리나라 주변 높은 해수온과 해기차로 지역에 따라 많은 눈이 올 때가 있고 기온 변동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행정안전부는 앞서 지난달 29일 17개 시·도에 제설제와 제설장비 구매, 한파 대비 등을 위한 재난특교세 150억원을 지급한 바 있다. 또 국토교통부와 전국 지방정부는 제설제 116만t을 우선 확보한 데 이어 내년 2월까지 29만t을 추가 확보해 총 145만t 가량을 비축해둘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사용량 대비 116% 수준이다.
정부는 올겨울부터 무거운 눈, 보통 눈, 가벼운 눈 등 3단계 강설정보를 담은 습설예보를 전국 단위로 확대한다. 습기가 많아 잘 뭉쳐지는 습설은 마른 눈인 건설보다 2∼3배 무겁다. 때문에 습설이 많이 내리면 시설물 전도나 붕괴 우려가 커진다. 습설예보는 현재 강원·충청·전라·경북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또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의 적설 자료 제공 주기를 지점별 1시간 단위에서 10분 단위로 단축해 유관기관의 재난 대응력을 강화한다.
호우 긴급 재난 문자와 유사한 대설 재난문자 발송도 시범 운영된다. 대설 재난문자는 강설강도와 적설 등을 고려해 시군구 단위에서 발송하는 안전안내문자로, 수도권·충남·전북 지역에서 시범 운영될 계획이다.
제설 미흡으로 인한 정체와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살얼음 상시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취약구간은 강설 예보 1~3시간 전 제설제 사전살포 후 기상·도로상황에 따라 재살포한다.
겨울철 대설·한파 취약 지역과 시설에 대해서는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해 위험기상 시 우선 통제와 주민대피를 실시한다. 정부는 최근 전통시장과 비닐하우스, 축사 등 겨울철 재해우려지역 8761개소를 지정해 사전점검을 마쳤다.
행안부는 “폭설로 교통정체, 차량고립이 우려되는 경우 우선 교통을 통제하고, 제설작업 완료 후 통행을 재개하는 원칙을 적용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