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성범죄변호사 포스코홀딩스가 2차전지 소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 1조1000억원을 투자해 호주와 아르헨티나의 리튬 자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공격적인 투자로 우량 자원을 선점해 원가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2차전지 등의 핵심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11일 호주 대표 광산기업인 ‘미네랄 리소스’가 설립한 중간지주사의 지분 3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7억6500만달러(약 1조원) 규모다.
이번 투자로 포스코홀딩스는 미네랄 리소스가 서호주에서 운영 중인 리튬 광산 ‘워지나’와 ‘마운트마리온’에서 연간 27만t의 리튬 정광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수산화리튬 3만7000t을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전기차 약 86만대에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크리스 엘리슨 미네랄 리소스 최고경영자(CEO)는 “서호주 온슬로 철광석 광산 프로젝트로 시작된 포스코그룹과의 견고한 파트너십이 리튬 사업 분야까지 확장돼 기쁘다”며 “각사의 역량을 결합해 워지나·마운트마리온 광산에서 가치를 지속해서 창출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5일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내 광권을 보유한 캐나다 자원개발사 ‘LIS’의 아르헨티나 현지 법인 지분 100% 인수를 결정했다. 6500만달러(약 950억원) 규모다.
앞서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주요 광권을 인수했다. 이번에 인접한 광권을 추가 확보한 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기존에 구축한 인프라와 운영 비결을 활용할 수 있어 아르헨티나에서 추진 중인 기존 리튬 사업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글로벌 1위 리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원료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리튬 공급망을 다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남 함양의 한 야산에서 벌목 작업 중이던 60대 작업자가 전기톱에 하체를 크게 다쳐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16일 경남 함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쯤 함양군 소재 야산에서 나무를 베던 60대 A씨가 전기톱에 하체를 다치는 사고를 당했다.
A씨는 인근에 있던 동료 작업자의 신고로 출동한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에 옮겨졌으나 숨졌다.
경찰은 벌목 업체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한 분이라도 더 힘내시라고, 밥 한 숟갈이라도 따뜻하게 드려야겠다 싶었죠.”
지난 14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 차가운 바닷바람이 부는 부두에 조석순(66) 대한적십자봉사회 울산남구협의회장은 아홉 날을 꼬박 서 있었다. 9년째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는 그는 사고 소식을 접하고 “소방관님들 밥 챙기는 것밖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렇게 사고 직후인 지난 6일 긴급히 모은 봉사자 30여명과 함께 그는 매일같이 ‘밥 짓는 현장’을 지켰다. 새벽 5시30분이면 집을 나섰고, 현장에 도착하면 곧바로 쌀을 씻고 반찬을 챙겼다. 첫날은 구조대원들이 새벽 1시가 넘어서야 식사를 마쳐, 집에 돌아온 시간이 새벽 2시였다. 선잠을 잔 뒤 다시 새벽에 일어나 밥을 챙긴 날도 하루이틀이 아니었다. 사고 이튿날째는 400~500인분을 해내기도 했다.
현장은 밥을 하기도 쉽지 않은 곳이었다. 밥차 안에서는 300인분 받을 지을 수 있었지만, 바닷가 옆이라 하수 배출이 어려웠다. 반찬은 밖에서 만들어 와야 했고, 쌀만 밥차 안 싱크대를 사용했다. 식사 이후 나오는 잔반 등도 철저하게 관리했다.
사고 발생 사흘째엔 보일러 타워 붕괴 위험을 감지한 센서가 작동해 소란이 일었다.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이 즉각 안전지대로 철수하는 과정에서 천막과 의자, 조리도구 등을 정신없이 챙겼다. 조 협의회장은 “비는 오지, 깜깜하지, 짐은 산더미지 정말 힘들었다”며 “자리를 옮겨 불을 켜고 다시 저녁 준비를 했다. 소방관님들 끼니는 제때 챙겨야 한다는 생각에 모두 힘을 합쳤다”고 말했다.
그는 매일 하루 2만보 가까이 걸었다고 했다. 구조대원뿐 아니라 유가족에게도 도시락과 간식을 챙겨줬다. 조 협의회장은 “우리가 뭐 대단한 걸 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마지막까지 구조대 밥을 챙겨드릴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구조대원의 몸을 지탱할 한 끼를 만드는 동안 한쪽에서는 마음이 무너지지 않도록 곁을 지킨 사람도 있었다. 이번 사고에 투입된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심리전문가들이다. 이들은 6~9명씩 돌아가며 피해 가족과 생존자, 구조대원 등에게 심리 상담 등을 지원했다.
현장에서 심리 상담가로 활동한 이은정 대구대 청소년 심리학과 교수는 “피해자 가족 대부분이 충격이 너무 커서 누가 옆에 있는지도, 내가 뭘 느끼는지도 잘 모르는 상태였다”며 “그때는 개별 상담이라기보다 ‘동행’을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화장실을 갈 때조차 함께 움직이며 그들의 마음을 돌봤다”고 말했다. 가족 곁을 지키며 얘기를 들어주는 것이 심리적 응급처치이기 때문이다.
상담가들은 구조대원과 소방관들도 만났다. 생존자를 끝내 살려내지 못한 죄책감에 시달리며 현장을 떠난 뒤에도 당시 장면이 반복해서 떠오른다는 호소가 이어졌다.
이 교수는 “살아있는 상태에서 구조하지 못한 상황이 된 탓에 ‘우리가 더 잘했어야 하지 않았냐’ ‘조금만 더 빨랐으면’ 하는 자책이 매우 컸다”며 “PTSD는 완전한 회복이 없어서 심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