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홈페이지제작 미국 해군참모총장이 한·미 관세·안보 협상이 타결된 다음날 국내 주요 조선소를 찾았다.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가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린 모양새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 15일 대릴 커들 미 해군참모총장이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해 정기선 HD현대 회장과 마스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커들 총장은 같은날 한화오션 거제사업장도 찾아 김희철 대표이사와 함께 조립공장 등을 살폈다.
앞서 한·미 양국은 지난 14일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에서 “한·미는 조선 분야 실무협의체를 통해 유지·정비·보수(MRO), 인력 양성, 조선소 현대화, 공급망 회복력을 포함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전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 브리핑에 따르면, 양국은 기업(민간)투자·대출보증·선박금융 등으로 조선 협력 분야에 1500억달러(약 217조원)를 투자하고 향후 수익은 한국 기업이 갖는 데 합의했다.
커들 총장의 이번 방문은 조선업 분야 기술 협력과 공급망 연계 논의를 위해 직접 현장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커들 총장은 정 회장에게 미 해군이 겪고 있는 함대 부족 문제 등을 언급했다고 HD현대중공업은 전했다. 커들 총장은 최근 HD현대중공업이 진수한 최신 이지스함 2번 함인 ‘다산정약용함’에 오른 뒤 3번 함의 납기를 묻기도 하고, 미국의 방산 기업인 안두릴 인더스트릴과의 무인수상정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한화오션을 찾은 커들 총장은 배관 제작 자동화 시스템, 자동용접 장비 등 자동화 공장 설비에 특히 관심을 보였다. 한화오션 경영진은 우수한 납기 능력과 함정 솔루션 등을 제시하며 MRO에서 함정 건조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포부를 커들 총장에게 전했다.
국내 조선업계는 함정과 상선 등 미국 선박 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양국의 팩트시트를 보면 상선과 함정이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건조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며 “이제 우리나라에도 본격적으로 미국 선박 시장이 열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팩트시트는 미국의 상선과 함정 수를 신속하게 늘리기 위해 “한국 내에서의 잠재적 미국 선박 건조를 포함(한다)”이라고 명시했다.
정 회장은 “미국 조선산업의 역량 증대와 미국 해군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마스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제반 사항 준비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2026 여자프로농구(WKBL)의 화두는 단연 박지수(27·청주 KB)의 복귀다.
데뷔 시즌 신인왕에 이어 정규리그 MVP를 4번 수상한 박지수는 지난 시즌을 유럽 튀르키예 리그 갈라타라사이 SK에서 뛰었다. 1년 만에 친정팀 KB 유니폼을 다시 입었다.
박지수는 WKBL이 개막을 앞두고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MVP 후보 1위에 올랐다.
팬 투표 28.2%, 선수 투표 40.8%, 미디어 투표 61.2%의 선택을 받았다.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PO)에서 아산 우리은행에 패배한 KB는 박지수의 복귀와 함께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책임감이 막중하다. 13일 천안 KB국민은행연수원에서 만난 박지수는 “기대치를 어떻게 충족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된다”면서도 “제가 없는 사이 KB는 인사이드뿐 아니라 외곽에서의 유기적인 움직임이 좋아졌다. 그 플레이에 잘 녹아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지수가 빠진 KB는 지난 시즌 힘든 시기를 보냈다. 평균 득점이 59.3점으로 5위, 리바운드는 36.6개로 꼴찌였다. 평균 72.7득점, 45리바운드로 압도적 1위를 기록한 2023~2024시즌보다 힘이 빠진 모습이었다.
리그 에이스 대결 구도도 단조로워졌다. 김단비(아산 우리은행)와 김소니아(부산 BNK)가 라운드 MVP를 각각 4번, 2번 나눠 가졌다.
박지수의 합류로 새 시즌 리그에는 역동성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지수는 “저로 인해 KB의 득점도 올라가고, 우리를 이기려는 상대팀의 득점도 올라가서 6개 구단의 평균 득점이 다 조금씩 올라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지수는 해외 리그에서 뛰며 농구에 대한 시야를 넓혀왔다. 앞서 2018년부터 2022년까지는 미국 WNBA 활동도 병행했다.
박지수는 “유럽 각 팀과 컵대회도 하고 튀르키예 리그 경기도 많다 보니 초반에는 일정을 소화하는 게 힘들었다”며 “처음에는 정신없이 따라가서 농구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스포츠는 자신감이라고 생각하는데, 외국 선수들과 부딪쳐보면서 국제무대에서 ‘나도 해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며 “동료들이 물으면 ‘무조건 한 번쯤 경험해보는 게 도움 된다’고 답한다. 외국에 나가보면 자신의 실력에서 ‘벽’을 느껴볼 수 있다. 그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B는 이제 ‘박지수 원맨 팀’이 아니다. 베테랑 슈터 강이슬과 전천후 포인트 가드 허예은, 센터 유망주 송윤하까지 있다.
박지수가 버티고 있는 골 밑은 물론이고 외곽과 백코트까지 단단해졌다. 박지수는 특히 ‘국보 센터’의 계보를 이을 송윤하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박지수는 “송윤하를 보면서 ‘정말 복덩이가 들어왔구나’라는 생각을 했다”며 “제가 나갔을 때 빈자리를 송윤하가 잘 채워줬다. 출전시간 때문에 경쟁 상대가 될 순 있겠지만 서로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박지수는 스스로 ‘걱정을 미리 하는 스타일’이라고 했다. 부상을 이겨내야 하고,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어야 한다. 모두가 인정하는 에이스이지만 언제나 ‘그 이후’를 고민한다.
박지수는 먼 훗날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며 김단비를 떠올렸다. 그는 “단비 언니처럼 나이가 들어도 최정상을 지킬 수 있는 선수가 되고 싶다”며 “에이징 커브를 겪지 않고 가장 높은 곳에서 은퇴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