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상위노출 새만금과 내륙을 연결하는 ‘새만금항 인입철도’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전북도는 12일 국토교통부가 ‘새만금항 인입철도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군산 대야역에서 새만금 신항만까지 48.3㎞ 단선전철을 놓는 사업이다. 기존 군산항선 19㎞는 개량하고 옥구에서 새만금신항까지 29.3㎞는 새로 건설한다. 사업 기간은 2025년부터 2033년까지다.
정거장은 총 7곳으로 계획됐다. 신설 구간에는 옥구신호장, 새만금국제공항 정거장, 수변도시 정거장, 신항만 철송장이 포함된다. 대야 정거장과 군산옥산신호장은 개량해 활용하며 새만금신호장은 향후 열차 운행 계획에 따라 설치 여부를 검토한다.
여객역은 새만금국제공항, 수변도시, 대야 정거장으로 운영된다. 신항만 철송장은 화물역으로 활용된다. 역명은 개통 전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사업이 완료되면 익산에서 새만금 수변도시까지 약 36분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새만금 신항만~대야~광양항으로 이어지는 철도물류망이 구축되면, 서해안 물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이번 사업의 생산유발효과 2조2152억원, 고용유발 1만4788명, 부가가치유발 7582억원으로 분석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새만금은 신산업 중심의 첨단 도시로 성장할 것”이라며 “인입철도는 전북의 미래 성장축을 구축하는 국가 프로젝트인 만큼,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운동으로 갑상선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앞선 연구에서는 운동과 갑상선암의 뚜렷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명승권 교수 연구팀은 12일 운동을 자주 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비교한 연구들을 종합하는 메타분석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했다. 연구팀은 2010~2024년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연구 9편을 분석해 국제임상종양학저널에 발표했다.
주요 의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관련 연구 중 9편을 최종 선정해 메타분석했을 때는 운동과 갑상선암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아시아에서 시행된 연구와 2015년 이후 발표된 연구의 질이 높은 논문만 따로 분석한 결과, 운동은 갑상선암 발생 위험을 19~25%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이 갑상선암 위험을 낮추는 이유를 두고 연구팀은 여러 기전이 복합 작용했을 수 있다고 했다. 명 교수는 “운동은 갑상선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에스트로겐, 인슐린 및 인슐린유사성장인자의 농도를 낮추거나 만성염증을 줄임으로써 갑상선암 발생을 낮출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갑상선암은 2022년 기준 국내 암 발생 1위를 차지했다. 다른 암 발병에는 운동을 포함해 흡연·음주·비만 등 생활습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갑상선암은 방사선 노출을 제외하면 뚜렷하게 밝혀진 원인을 찾기 힘들었다. 2013년 유럽역학저널에 발표된 다른 메타분석 연구에선 운동과 갑상선암의 관련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놨다.
연구팀은 비교적 최근 발표된 논문에서만 운동과 갑상선암의 관련성이 뚜렷이 나타난 데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명 교수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육체활동 설문지를 이용해 질적 수준이 높은 코호트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이번 결과를 입증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