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분양가가 최소 18억원, 최대 27억원인 서울 서초구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이 1순위 청약에서 23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10·15 대책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2억원에 불과한 단지로 시세 차익을 노린 ‘현금 부자’들의 경쟁이 그만큼 치열했던 것으로 보인다.
1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진행된 래미안 트리니원 1순위 해당지역 청약에서 230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5만4631명이 신청해 평균 237.5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최고 경쟁률은 전용면적 84㎡B형(531.4대 1)이었으며 이어 84㎡A형(457.3대 1), 84㎡C형(413.5대 1), 59㎡A형(245.2대 1), 59㎡B형(198.6대 1), 59㎡C형(152.3대 1), 59㎡D형(143.3대 1)의 순이었다.
래미안 트리니원은 상한제가 적용돼 분양 가격이 전용 59㎡의 경우 18억4900만∼21억3100만원, 전용 84㎡의 경우 26억3700만∼27억4900만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시가 25억원 이상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2억원으로 축소된 상황에서, 해당 단지의 분양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6억원, 최대 25억원대의 현금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이처럼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은 높은 시세 차익 때문으로 보인다. 인근 신축 단지인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84.98㎡의 실거래 가격이 지난 6월 72억원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당첨 시 향후 30억원 안팎의 시세 차익이 예상된다.
같은 날 분양한 경기 성남시 정자동 ‘더샵 분당티에르원’은 47가구 모집에 4721명이 몰리며 평균 10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마트가 올해 3분기에도 실적 개선을 이어갔다. 창고형 할인점인 트레이더스는 처음으로 분기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섰다.
이마트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51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했다. 3분기 매출은 7조4008억원으로 1.4% 감소했다. 그러나 3분기 누계 연결 영업이익이 33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7.6%나 늘었다.
별도 기준으로는 올해 3분기 총매출이 4조5939억원, 영업이익은 1135억원으로 각각 1.7%, 7.6% 감소했다. 이마트는 “올해와 지난해 추석 시점이 차이가 났음에도 그동안 추진해 온 수익성 강화 기조가 실적 방어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마트는 이같은 실적 개선의 요인을 본업 경쟁력 강화로 꼽았다. 고물가 상황에서도 통합 매입을 통한 원가 개선과 가격 재투자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 데다 고객 중심의 공간 새단장 전략이 시너지를 냈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형 할인행사 ‘고래잇 페스타’를 통한 상시 최저가 정책도 주효했다.
트레이더스는 이마트 수익성 개선을 견인하는 핵심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했다. 3분기 트레이더스 매출은 1조4억원으로 3.6% 증가했다. 분기 매출이 1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95억원으로 11.6% 늘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112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2% 증가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가격, 상품, 공간의 세 축을 중심으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강화하고 본업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