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혼전문변호사 서울 도심에서 남도의 따뜻한 겨울을 주제로 한 감성 팝업스토어가 열린다. 눈꽃 위로 피어난 동백과 대나무를 테마로, 남도의 자연과 미식·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체험형 전시다.
전남도와 전남관광재단은 13일부터 15일, 20일부터 22일까지 2주간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옥상 ‘서울마루’에서 ‘봄이 피는 겨울, 남도’를 주제로 관광상품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전남도는 이번 행사를 ‘봄이 피는 겨울, 남도’, ‘눈꽃 위에 피는 봄, 남도’ 콘셉트로 구성했다. 눈 속에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는 남도의 자연과 문화, 미식의 따뜻한 기운을 서울 도심에 전한다는 취지다. 검정(김부각 등), 붉은색(동백), 푸른색(대나무), 흰색(눈) 등 전남의 계절 색채를 대비시켜 겨울 속 봄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전남의 도화(道花)인 동백꽃을 중심 모티브로 한 ‘동백과 푸름의 숲’ 테마존도 마련됐다. 눈 속 붉은 동백과 푸른 대나무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방문객들은 ‘겨울 속 봄의 정원’을 걷는 듯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전시 공간은 포토존과 전시존으로 구성된 ‘동백과 푸름의 숲’, 로컬 티(tea)와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남도 티 컬렉션존’, 관광두레 주민사업체와 관광창업기업의 제품을 선보이는 ‘남도 정감마켓’, 시민 참여형 ‘이벤트존’으로 나뉜다. 테이스팅존에서는 보성 녹차, 순천 매실쌍화차, 담양 골드캐슬커피, 김부각과 오란다강정 등 남도 로컬 티와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
정감마켓에서는 관광두레 주민사업체와 청년 창업기업이 개발한 특산품 40여 종이 전시·판매된다. 시음·시식이 가능하며, QR코드를 통한 온라인 주문도 지원한다.
전남관광재단은 이번 행사를 단순 전시가 아닌 ‘참여형 감성체험’으로 기획했다. 남도 관광의 본질인 자연·문화·사람의 조화를 시민이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해, 남도의 상표 가치를 감각적으로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김영신 전남관광재단 대표이사는 “남도의 겨울은 끝이 아닌 봄을 품은 계절”이라며 “서울 시민이 ‘남도 옥상살롱’을 통해 따뜻한 미식과 문화를 체험하고 새로운 계절의 시작을 느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의 로컬관광 활성화 사업으로 추진 중인 순환형 팝업전의 하나다. 서울시는 전국 10여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매달 두 곳 이상의 지역이 참여하는 팝업전을 열고 있다. 9월에는 충북·충남이 ‘전통과 느린 여행’을, 10월에는 경북·제주가 ‘제철여행’을 주제로 참여했으며, 11월은 강원도와 전남이 ‘겨울여행’을 테마로 시민과 관광객을 만난다.
팝업스토어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국회가 14일 ‘관봉권 띠지 폐기 의혹 및 쿠팡 퇴직금 불기소 외압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후보자로 검사 출신인 박경춘 변호사와 안권섭 변호사를 추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들 중 한 명을 특별검사로 임명해야 한다.
국회 특별검사 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이같이 의결했다고 밝혔다.
박 변호사는 광주 서석고와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했고, 수원지검 평택지청장을 지냈다. 2003년 고 노무현 대통령이 진행한 ‘검사와의 대화’에 참여한 검사로도 유명하다. 현재는 법무법인 서평에서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안 변호사는 전주 완산고와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해 춘천지검 차장검사, 서울중앙지검 공판부장으로 일했다. 현재는 법무법인 대륜 대표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관봉권 띠지 폐기 의혹은 지난해 12월 건진법사 전성배씨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나온 현금 1억6500만원 중 5000만원 어치에 붙어 있던 관봉권 띠지와 스티커가 사라져 검찰의 증거인멸 의혹이 불거진 사건이다. 쿠팡 퇴직금 불기소 외압 의혹은 지난 4월 엄희준 당시 인천지검 부천지청장(현 광주고검 검사)이 수사 책임자인 문지석 부장검사에게 불기소 결정을 압박했다는 의혹이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지난달 24일 두 사건에 대해 검찰 자체 감찰만으로는 국민적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판단해 상설특검(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수사를 결정했다. 상설 특검은 일반 특검과 달리 수사요구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되면 즉시 가동되며,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가 불가하다. 상설특검 가동은 2021년 ‘세월호 특검’ 이후 역대 두번째다.
이에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진수 법무부 차관, 법원행정처 차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국회 추천 인사 4명 등 7명으로 구성된 특검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했다. 추천위가 2명의 후보자를 추천하면, 이 대통령은 3일 이내에 이 중 1명을 특검으로 임명해야 한다. 상설특검은 특검과 특검보 2명, 파견검사 5명, 파견공무원·특별수사관 각 30명으로 구성되고, 최장 90일간 수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