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공급 없이 거래만 차단…주춤하던 집값 다시 ‘꿈틀’
작성자  (211.♡.145.106)
통화후문자발송 공급 없이 거래만 차단…주춤하던 집값 다시 ‘꿈틀’한강벨트 중심 상승세 지속, 신고가 거래도 속출“집값 더 오른다” 집주인 버티기…매물 잠김 심화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데일리안 홍금표 기자[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로 지정하는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시장은 정부의 예상과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고강도 수요 억제책으로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가 짙어져 거래 자체는 줄었으나 정작 중요한 집값은 잡히지 않고 있다. 강남3구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서울 핵심지 집값 상승세는 여전하고 무주택자의 주거 불안만 심화하는 모습이다.16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약 한 달 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20건으로 직전 한 달(9월 18일~10월 15일) 거래량(1만 254건) 대비 77.4% 감소했다.서울과 경기 주요 지역에 겹 규제가 적용되면서 대출 규제 강화, 2년 실거주 의무,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차단 등으로 거래가 얼어붙었다. 다만 공급 부족 심화, 집값 상승 기대감, 만성적 수급 불균형 등으로 집값 자체는 떨어지지 않고 있다.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0.26% 오르며 41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10·15 대책 시행 이후 4주째 상승 폭은 둔화했으나 자치구별로 보면 보합(0.00%)을 나타낸 금천구와 도봉구를 제외한 23개구 모두 아파트값이 상승했다.특히 선호도 높은 한강벨트 지역들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송파구(0.81%)는 2주 연속 상승 폭을 키우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어 성동구(0.48%)·마포구(0.43%)·용산구(0.40%)·동작구(0.39%) 등 순으로 나타났다.겹겹이 규제에도 ‘한강벨트’ 굳건…‘똘똘한 한 채’ 돈뭉치 쏠림노도강 등 집값 약세 지역, 무리한 규제로 민심 ‘부글부글’경기도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같은 기준 경기도 아파트 값은 0.08% 오르며 13주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번 대책으로 규제에 묶인 성남 분당구(0.70%), 성남 중원구(0.45%), 광명(0.41%), 과천(0.39%) 등이 강세를 보였다.매물도 귀해지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다음 날부터 지난 14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물은 7만4044건에서 공급 없이 거래만 차단…주춤하던 집값 다시 ‘꿈틀’한강벨트 중심 상승세 지속, 신고가 거래도 속출“집값 더 오른다” 집주인 버티기…매물 잠김 심화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데일리안 홍금표 기자[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로 지정하는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시장은 정부의 예상과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고강도 수요 억제책으로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가 짙어져 거래 자체는 줄었으나 정작 중요한 집값은 잡히지 않고 있다. 강남3구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서울 핵심지 집값 상승세는 여전하고 무주택자의 주거 불안만 심화하는 모습이다.16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약 한 달 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20건으로 직전 한 달(9월 18일~10월 15일) 거래량(1만 254건) 대비 77.4% 감소했다.서울과 경기 주요 지역에 겹 규제가 적용되면서 대출 규제 강화, 2년 실거주 의무,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차단 등으로 거래가 얼어붙었다. 다만 공급 부족 심화, 집값 상승 기대감, 만성적 수급 불균형 등으로 집값 자체는 떨어지지 않고 있다.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0.26% 오르며 41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10·15 대책 시행 이후 4주째 상승 폭은 둔화했으나 자치구별로 보면 보합(0.00%)을 나타낸 금천구와 도봉구를 제외한 23개구 모두 아파트값이 상승했다.특히 선호도 높은 한강벨트 지역들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송파구(0.81%)는 2주 연속 상승 폭을 키우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어 성동구(0.48%)·마포구(0.43%)·용산구(0.40%)·동작구(0.39%) 등 순으로 나타났다.겹겹이 규제에도 ‘한강벨트’ 굳건…‘똘똘한 한 채’ 돈뭉치 쏠림노도강 등 집값 약세 지역, 무리한 규제로 민심 ‘부글부글’경기도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같은 기준 경기도 아파트 값은 0.08% 오르며 13주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번 대책으로 규제에 묶인 성남 분당구(0.70%), 성남 중원구(0.45%), 광명(0.41%), 과천(0.39%) 등이 강세를 보였다.매물도 귀해지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다음 날부터 지난 14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물은 7만4044건에서 6만2745건으로 15.3% 빠졌다.급매는 빠르게 소진되고 급하게 주택을 처분할 필요 없는 집주인들은 오히려 통화후문자발송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73,573 개, 페이지 1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