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마그라구입 경찰이 16년 전 순천에서 발생한 ‘청산가리 막걸리 살인사건’의 진범을 찾기 위한 재수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피해자 유족인 부녀가 재심을 통해 무죄를 확정받으면서, 사건이 다시 미제로 남게 됐기 때문이다.
전남경찰은 4일 2009년 7월 전남 순천시 황전면 한 마을에서 발생한 독극물 살인사건의 재수사 절차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당시 부녀는 막걸리에 독극물인 청산가리를 타 아내와 이웃주민을 살해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검찰은 부녀가 근친관계 끝에 아내이자 친모를 살해하기 위해 범행을 공모했다고 판단했다. 2012년 대법원은 이들에게 각각 무기징역과 징역 20년형을 확정했다.
부녀는 강압·조작 수사 피해를 주장하며 2022년 재심을 청구했고, 지난해 9월 재심 개시가 결정됐다. 광주고법은 지난달 28일 “직접 증거가 없고 진술의 신빙성이 부족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이어 검찰이 이날 상고를 포기하면서 무죄가 최종 확정됐다. 이로써 부녀는 구속 16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경찰은 당시 검찰로 이관된 약 19권 분량의 초기 수사기록을 회수해 재검토할 계획이다. 중단된 수사를 복원하는 방안과, 백지상태에서 새로 시작하는 방안을 모두 검토 중이다. 재수사가 본격화되면 전남경찰청 형사기동대 내 미제사건 전담팀이 수사를 맡는다.
‘태완이법’으로 불리는 2015년 개정 형사소송법에 따라 살인죄의 공소시효는 폐지됐다.
대전시의회가 대전시와 대전시교육청을 상대로 행정사무감사에 들어간다.
대전시의회는 5일 의회 본회의장에서 제291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를 열고 정례회 회기결정 안건을 처리했다. 이번 정례회는 이날부터 다음달 15일까지 41일간 열린다.
이번 회기 주요 의사일정은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안 심사다. 6일 시작되는 행정사무감사는 대전시와 산하 공사·공단 및 출자·출연기관, 대전시교육청을 대상으로 각 상임위원회에서 오는 19일까지 진행된다.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각 상임위가 소관 부서의 시정 추진 상황과 예산 집행과정 등을 점검하게 된다. 올해 행정사무감사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뤄지는 만큼 민선 8기 단체장과 교육감의 시정 및 교육 행정을 사실상 결산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전시의회는 전체 21석 중 이장우 대전시장과 같은 당 소속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17석으로 절대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집행부에 대한 견제가 얼마나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에 시민단체가 시민모니터단을 구성해 의정 활동 감시에 들어간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시민모니터단을 구성하며 각 상임위에서 중점적으로 감시할 주요 의제도 선정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과정과 대전 0시 축제, 보문산 개발사업, 3칸 굴절버스 시범사업 등을 올해 대전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주요하게 다뤄져야 할 의제로 제시했다.
이들은 “행정사무감사는 지방의회가 행정권력을 감시·견제하는 가장 핵심적인 권한이자 의무”라며 “9대 대전시의회의 마지막 행정사무감사인 만큼 그동안 비판받은 집행부 거수기 역할을 반성하고, 시민이 부여한 권한으로 행정을 감시하고 견제하도록 시민들이 끝까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시의회는 행정사무감사가 마무리되면 오는 20일부터는 대전시와 시교육청의 내년도 예산안 및 각종 조례안 심사에 들어간다.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은 이날 정례회 개회식에서 “이번 정례회는 한 해 예산과 1년간의 성과가 유종의 미를 거두는 중요한 기회”라며 “시정 전반의 위법·부당 사항과 예산낭비 사례, 제도개선 대상을 철저히 검증해 그 결과가 내년도 예산과 정책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