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간녀위자료 대구시는 오는 18~19일 중구 동성로 일대에서 ‘제11회 대구청년주간’ 행사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대구시는 각 세대가 청춘을 이야기하며 함께 나아가자는 응원의 의미를 담아 ‘청춘진격(靑春進擊)’을 올해 행사 구호로 정했다.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 노년층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세대 공감형 축제로 꾸며질 예정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행사 기간 중 댄스대회 및 가요제·토크쇼·카니발·달빛골든벨·스탬프 투어 등 다양한 이벤트가 예정돼 있다.
동성로 28아트스퀘어에서는 청년 댄서와 보컬이 실력을 겨루는 ‘스트릿 배틀&청춘 싱어즈’가 진행된다. 우승자에게는 상금과 함께 폐막식 오프닝 무대의 기회가 주어진다.
행사 첫 날인 18일 청년토크쇼에는 음악·공간·창업 분야의 활동가들이 동참한 가운데 열린다. 19일에는 청년 프리랜서 공연 및 청년카니발 행사가 열린다.
축제 기간 동안 동성로 곳곳에는 40여개의 체험 부스도 운영된다. 시민들은 도심 생태계 타투, 업사이클링 반지 반들기, 오픈마켓 등 다채로운 체험거리 및 전시를 즐길 수 있다.
개막식은 18일 오후 7시부터 동성로 메인무대에서 열린다. 청춘의 이야기를 뮤지컬로 담아낸 주제공연을 시작으로 공식 행사와 유공자 시상, 축하공연 등이 열린다. 자세한 프로그램과 일정은 대구청년주간 공식 누리집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대구시는 올해 키오스크 체크인 시스템을 도입해 참가자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현장에서 정보무늬(QR코드) 팔찌를 발급받으면 부스 참여와 이벤트 응모 등을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대구시는 2015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청년주간’을 도입하고, 2020년에는 청년기본법을 제정하기도 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올해 청년주간행사는 청년은 물론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리고 즐기는 열린 축제가 될 것”이라면서 “많은 시민이 현장을 찾아 청춘의 열정과 활기를 함께 나누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법원이 16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판결을 선고한다. 항소심은 SK그룹 주식도 재산분할 대상으로 보고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대법원 판단에 따라 SK그룹 경영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16일 오전 10시 두 사람의 이혼소송 상고심 선고를 한다. 최 회장이 2017년 7월 이혼 조정을 신청한 지 8년3개월 만이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달 18일 전원회의를 통해 재산분할 금액의 적절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심 판단은 크게 엇갈렸다. 1심은 2022년 12월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재산분할금 665억원과 위자료 1억원을 지급하라”고 판단했다. 2심은 지난해 5월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줘야 할 재산분할 금액을 1조3808억1700만원, 위자료를 20억원으로 판결했다. 재산분할금이 20배 이상 늘어났다. 두 사람의 순자산 합계를 약 4조원으로 산정하고 재산분할 비율을 최 회장 65%, 노 관장 35%로 정했다.
차이는 최 회장의 SK그룹 주식을 ‘특유재산’으로 볼지 여부에서 비롯했다. 민법상 특유재산은 부부 중 한쪽이 혼인 전부터 가진 고유재산과 혼인 중 자기 명의로 취득한 재산으로 배우자의 기여가 없으면 재산분할 대상이 되지 않는다.
1심은 “SK그룹 주식은 고 최종현 SK 선대 회장으로부터 증여·상속받아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다”라는 SK 측 주장을 수용했다. 2심은 최 회장의 SK 주식 매입 과정에 선대 회장 돈 이외의 자금도 흘러 들어간 것으로 판단했다. 노 관장의 부친인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300억원’이 과거 선경(SK의 전신)에 유입돼 회사 성장의 바탕이 됐다는 것이다. 노 관장 측이 항소심에서 ‘선경 300억’이라고 적힌 모친 김옥숙 여사의 메모 2장과 50억원짜리 약속어음 6장을 제출한 것을 재판부가 받아들였다.
‘노태우 비자금’ 의혹은 1991년 최종현 회장이 태평양증권을 인수한 이후 제기됐으나 실체가 드러난 적은 없었다. 노 관장 측은 추징 우려 때문에 이 같은 사실을 30년 가까이 숨겼다고 했다.
노 관장은 혼인 기간에 가족의 지원과 가사노동이 주가 상승에 기여했다고 했는데, 항소심은 이 주장도 수용했다.
대법원이 파기환송을 선고하면 재산분할액이 재조정될 수도 있으나, 상고 기각하면 최 회장이 주식 상당분을 매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