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차장검사출신변호사 아르헨티나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200억달러(약 28조원) 통화스와프(두 나라가 서로의 통화를 일정 기간 맞교환하는 것)를 체결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에게 “선거에서 지면 돕기 어렵다”며 통화스와프가 조건부라는 점을 시사했다. 이 발언에 대해 내정간섭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일간지 라나시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밀레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우리는 다가오는 선거에서 밀레이 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이곳에 있다”며 “선거에서 패배하면 우리는 아르헨티나에 관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밀레이 대통령은 아르헨티나를 문제에 빠트린 극좌 세력과 경쟁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다”며 “(양국 협정은) 누가 선거에서 이기느냐에 달려 있으며 승리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아르헨티나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선거가 오는 26일 총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상원의원 3분의 1인 24명과 하원의원(전체 257명) 절반 수준인 127명을 선출하는 이번 총선은 밀레이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집권여당 자유전진은 좌파 성향 야당에 밀리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 부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아르헨티나에 통화스와프를 먼저 제안했다. 라나시온은 미국이 아르헨티나의 희토류 등 천연자원 개발 우선권을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제안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정상회담 전 미국의 강력한 지원에 대한 기대감을 타고 상승세를 보이던 아르헨티나 메르발 지수는 이날 전장 대비 3.8% 급락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선거는 “2027년 대선을 말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마누엘 아도르니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대변인은 엑스에 “아르헨티나가 2027년 사회주의의 길을 따르며 퇴보한다면 이런 일(미국의 지원)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에 대한 이견으로 교착 상태에 놓인 한·미 관세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16일 미국 워싱턴으로 향한다. 김 실장은 15일 “미국 측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간 정상 간 관세협상이 마무리되도록 실무협상을 잘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김 실장과 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16일 워싱턴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현지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만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한·미 양국의 접점을 모색할 예정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이날 출국했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과 각각 협상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며, 김 실장은 투 트랙으로 진행되는 협상 과정을 실시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실장은 이날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최근 2주 사이에 미국이 우리가 보낸 수정 대안에 대해 상당히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다”며 “미국 쪽에서 새로운 대안이 와서 (미국에) 가서 실질적으로 대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김 장관이 갔을 때 미국 쪽에서 의미 있는 코멘트를 했고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이) 상당히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한국이 말하는 상황을 이해했다”고도 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방송 대담에서 한·미 무역협상에 대해 “내 생각에 우리는 한국과 마무리하려는 참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우리는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APEC 전 최대한의 관세 합의 도출 목표
앞서 한국과 미국은 지난 7월30일(현지시간) 타결한 관세협상에서 미국이 예고한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후 대미 투자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금·선불을 요구한 반면, 한국은 지분 투자·보증·대출 등을 포함한 개념이라고 해석하며 교착에 빠졌다. 한국은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 상업적 합리성 보장, 감내 가능한 수준의 직접 투자 등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 수정안을 제시했다.
김 장관에 더해 김 실장과 구 부총리까지 협상에 가세한 것은 APEC을 계기로 이뤄질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측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실장은 “두 정상이 만나는 계기가 자주 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APEC이 실질적으로 큰 목표”라고 했다.
김 실장은 인터뷰에서 “천문학적인 반도체 기업의 투자금 조달 숨통을 트기 위해 금산분리 완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부동산 보유세가 낮은 것은 사실”이라며 “세제를 건드릴 수 없다는 건 틀린 말”이라고 했다. 김 실장은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두고는 “최고구간 세율을 25% 정도로 낮춰야 배당을 할 것 아니냐는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말했다.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4대 그룹 총수도 이번주 방미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사저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를 방문한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주선한 투자 유치 행사에 참석하는 것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골프 일정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