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세종시는 ‘한글문화 공동체(HCC·Hangeul Culture Community)’가 공식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글문화 공동체는 한글문화 진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공공·민간이 참여하는 협력체계다.
한글문화 공동체에 참여하는 개인·기관은 세종시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학회, 교보문고, 헤럴드미디어그룹, 우노101, 이타북스, 김진명 작가 등이다.
시는 현재 세종중앙공원 관리·사무공간 등으로 쓰이고 있는 건물을 전시와 체험, 휴식 등이 가능하도록 내부를 새단장해 세종 한글 미술관(가칭)으로 꾸민다는 계획이다. 세종 한글 미술관 건립을 통해 미술관이 없는 도시에서의 비엔날레 개최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전시 운영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세종 한글 미술관은 내년 580돌 한글날이면서 가갸날 1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을 여는 것을 목표로 공간 조성 절차가 착수될 예정이다.
아울러 시와 교보문고는 한글문화도시 세종의 정체성 확립과 가치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세종시만의 특화 상품(굿즈) 개발과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활동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김진명 작가는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와 손잡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을 담은 세종의 나라(가제) 집필 착수를 발표했다. 김 작가는 “세종대왕의 정신을 계승한 도시, 세종시와 손을 잡고 세종의 나라를 펴는 작업에 착수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세종의 나라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을 조명하는 2권 분량의 소설로, 본 출범식에서 제작 후원을 약속한 우노101을 통해 드라마로도 제작될 예정이다.
23년간 소년소녀가장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을 이어온 ‘작은사랑나눔운동본부’가 올해 서울시 복지상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3개 분야 총 10명(단체포함)을 서울시 복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13일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 복지상은 2003년 제정돼 자원봉사자·후원자·종사자 등 3개 분야 수상자를 선정해오고 있다.
올해 대상을 받은 작은사랑나눔운동본부는 2002년 4월에 만들어져 서울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23년간 소년소녀가장과 취약계층을 위한 꾸준한 후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소년소녀가장 장학금 지원을 비롯해 제과·제빵, 드론 제작 등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이들의 자립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취약계층 2000여 세대에는 생필품과 식료품이 담긴 ‘해피나눔박스’를 전하며 생활 안정을 지원하고 있다. 또 본부 내 ‘작은사랑봉사단’을 구성해 쓰레기 줍기와 김장 나눔 등 꾸준한 지역 밀착형 봉사활동으로 나눔 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남숙 작은사랑나눔운동본부 대표는 “작은 관심만 있어도 누군가에게 큰 힘이 될 수 있다”며 “작은 노력이 아이들과 시민들에게 희망과 행복으로 전해지길 바란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그 외 18년간 노인요양원 봉사와 국가 재난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로 활약한 김보선씨가 자원봉사자 분야 최우수상에 선정됐으며, 15년간 취약 아동 계층을 위한 나눔을 실천한 사단법인 희망나눔마켓은 후원자 분야 최우상을 수상했다.
종사자 분야 최우수상은 2009년부터 노숙인들을 위해 응급구호와 돌봄서비스, 고용 연계 등 노숙인 복지와 인권 증진을 위해 힘써온 서울시립영등포보현종합지원센터 채서진 팀장이 받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봉사하고 헌신해 주신 수상자분들께 축하와 감사 인사를 드린다”며 “앞으로도 나눔의 가치가 살아있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