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 | |||||
---|---|---|---|---|---|
작성자 | (211.♡.145.106) | 작성일 | 25-10-14 17:27 | ||
콜백서비스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통일부에 대한 2025년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4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이은정 김유아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남북관계에 관한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의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14일 밝혔다.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두 국가론'을 계속 주장할 것이냐는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아직 정부 입장이 아니라는 지적에는 "지금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그는 "평화적인 두 국가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로 통일의 문을 여는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 두 국가로 못 가고 있기 때문에 통일로 못 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어 평화공존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라며 "평화적 두 국가가 될 때 평화공존이 가능하다"고 거듭 강조했다.정 장관은 안 의원의 오후 질의에서도 "(국정과제인) 평화공존 제도화의 내용이 바로 평화적 두 국가"라며 "(북한이 주장하는)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해소해야 평화공존의 제도화가 이뤄지지 않겠느냐. 또 그 연장에서 남북기본협정도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평화공존의 제도화'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한 신속하게 매듭을 지으려 한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안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위헌적'이라고 비판했지만, 정 장관은 '평화적 두 국가론'을 굽히지 않았다.그는 위헌 논란을 피하려면 헌법 제3조의 영토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는 안 의원의 지적에는 "영토 조항을 건드리기는 쉽지 않다"면서 "헌법 체제 내에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므로 현재 헌법의 영토·통일조항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취지로 대답했다. 정 장관의 입장이 남북은 두 국가 관계가 아닌 '잠정적 특수관계'라는 위성락 안보실장의 의견과 다르다는 지적에는 "정확히 같은 의견"이라며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잠정적 특수관계 속에서의 두 국가론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두 입장 모두) 사실상의 두 국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홍규빈 기자 = 미국과 중국 사이 재점화한 통상 갈등의 유탄이 한국으로 튀었다.중국이 자국산 선박에 부과된 미국의 입항 수수료에 대한 반격으로 미국에 조선소를 보유한 한화오션 등의 미국법인 5곳에 제재를 하면서 한국은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상황을 맞게 됐다.특히 중국이 조선 분야 최대 경쟁국이자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한국 업체들에 제재를 가한 것을 두고선 중국이 미국에 맞불을 놓은 동시에 자국의 조선 경쟁업체를 견제하는 두 가지 효과를 노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화오션 [한화오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4일 조선·해운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날 "미국이 중국에 대해 취한 해사·물류·조선업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한화오션 등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해 반격 조치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제재 대상 업체는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홀딩스, 한화쉬핑, HS USA홀딩스 등 한화그룹 조선·해운 계열사의 미국법인 5곳이다. 이중 한화필리조선소는 국내 조선업체인 한화오션이 미국에서 인수한 첫 현지 조선소로, 미국과 한국 간 조선 협력의 상징같이 여겨지는 곳이다.제재 조치에 따라 중국 내 기업이나 개인은 이들 업체와 거래·협력 등 활동을 하는 것이 금지됐다. 조선업계는 이번 조치로 당장은 큰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봤다. 중국이 한화필리조선소나 한화쉬핑에 발주한 사례가 아예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모회사인 한화오션이 중국에 블록 건조 등 하청을 맡기는 경우가 있어 미국 법인을 넘어 본사나 국내 다른 조선업체로 제재가 확대될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한화오션은 "중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인지했고 해당 조치가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중국의 제재는 미국이 이날부터 중국 운항 및 중국산 선박에 부과한 입항 수수료에 대한 맞대응이란 것이 조선업계의 대체적 평이다.앞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무역법 301조에 근거해 중국 조선·해운 산업에 대한 조사 콜백서비스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