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팔로워 구매 연일 치솟는 금값에 금 투자열풍이 불면서 골드뱅킹(금통장) 잔액도 처음으로 1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은 가격도 들썩이면서 실버바 등 ‘은 투자’ 수요도 폭증하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9일(우리은행은 2일 기준)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누적 잔액은 1조5130억원을 기록했다. 연휴(3일~9일)에도 지난달 말(1조4171억원)보다 잔액이 959억원 늘어났다. 올해에만 골드뱅킹 잔액이 7308억원 늘어나면서 작년 말(7822억원) 잔액의 2배 수준까지 늘어났다.
골드뱅킹은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금 적립계좌다. 이용고객이 출금을 요청하면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환율을 적용해 환산한 금액을 원화로 지급하게 된다. 은행 골드뱅킹 잔액은 올 3월 처음으로 1조원을 넘긴 뒤 주춤했으나 지난 9월 금값이 폭등하자 1조4000억원을 넘겼다.
골드바 판매도 급증하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골드바 판매액은 지난 1∼2일 134억8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골드바 판매액만 4505억원으로 지난해 판매액(1654억원)의 2.5배가 넘는다. 지난 3월 이후 월 200~300억원대에 머물렀던 골드바 판매량은 지난 9월 1115억8900만원으로 폭증했다.
금 가격 상승세가 꺾일 줄 모르고 오르면서 금 관련 상품의 수요를 자극하는 모양새다. 국제 금 가격은 현물과 선물 모두 온스당 4000달러 선을 넘겼다. 국내 공인 금 거래시장인 KRX금시장에서 금은 g당 19만9730원에 거래를 마치면서 역대 최고 종가를 경신했다. 금 1돈으로 환산하면 74만8988원으로, 연초 대비 57% 폭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인하를 재개한 가운데 관세 및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금값을 밀어올린 영향이다.
금값이 오르자 보완재인 은 관련 상품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NH농협)의 실버바 판매액은 지난달 42억7000만원으로 집계돼 사상 처음으로 40억원 선을 넘겼다. 추석연휴 전 영업일인 지난 1~2일 이틀에만 지난해 전체(8억원) 판매액의 2.5배에 달하는 20억2200만원 어치가 팔렸다. 올해 실버바의 누적 판매액은 104억5900만원으로 작년 판매액의 13배를 웃돈다. 국제 은 가격은 최근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50달러 선을 넘기면서 사상 최고치까지 뛰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할지에 대해 “우리가 그것을 할지 모르겠지만, 그것과 상관없이 그곳에 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약값 인하 정책을 발표한 뒤 취재진이 ‘시 주석과의 회담을 취소한 것이냐’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시 주석과의 회담이 불발되더라도 한국에서 APEC 회의에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그러면서 “나는 아마 우리가 회담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두고 “그들은 사람들이 할 거라고 생각하지 못한 일로 전 세계를 강타했다. 충격적인 일”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전세계를 인질로 잡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서 시진핑과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트루스소셜에 적었다.
또다음달 1일(현지시간)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작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