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카샵 올해 추석에도 가계지출의 대부분이 부모님·친척 용돈으로 몰리면서 용돈용 새 화폐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여전할 전망이다. 다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는 간편송금, 주식·펀드 등 ‘투자형 용돈’이 확산되면서 전통적 풍경이 점차 바뀌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
4일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추석 가계지출 예상액은 평균 71만2300원이었다. 세부 항목을 보면 부모님 용돈·선물비가 38만6100원으로 전체 예산의 54.2%를 차지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친지·조카 용돈으로는 27만400원가량의 지출이 예상됐다.
명절마다 용돈을 주는 게 ‘주요 행사’가 되다 보니 용돈용 ‘새 화폐’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벌어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2일까지 한은이 금융기관에 공급한 화폐는 4조4000억원으로, 추석 전 순발행액으로는 2021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금융사들은 올해도 고속도로 휴게소에 이동점포를 운영하며 신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은 등은 명절마다 5만원권과 1만원권 등 각 화폐에 개인별 교환 한도를 설정한다. 명절이 길어지면 신권 수요가 늘어나 개인들이 필요한 만큼 신권을 확보하기 힘들 때도 있다. 은행마다 신권 보유량이 달라 경우에 따라서는 신권 확보를 위해 은행을 옮겨다녀야 할 때도 있다.
다만 용돈 지급 방식이 간편화될 조짐도 보인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체나 간편송금을 이용하는 습관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간편송급 서비스의 이용 규모는 올해 상반기 98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봉투를 건네는 모습 대신, 스마트폰 메시지에 이모티콘과 함께 용돈을 보내는 모습이 자연스러워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명절 용돈을 주식과 펀드로 선물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어린 자녀가 ‘재테크 공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의 경우 노후자금 마련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업계도 ‘투자형’ 용돈 교환을 적극 권장하고 활용하고 있다. 일부 증권사들은 이번 명절에 미성년 자녀 명의로 신규계좌를 개설하면 소액을 지원하거나, 처음 주식 모으기를 한 미성년 고객에게 투자지원금을 주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명절은 자녀 금융교육을 시작하기 좋은 계기”라며 “용돈을 단순히 소비하지 않고 더 키우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10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여부에 대해 “국민의힘이 6개 상임위원회에 부른다고 한 순간 못 나간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운영위 정도는 여야 합의로 증인 채택이 되면 나갈 수도 있었지만, 6개 상임위에 나오라는 순간 끝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실장이) 안 나온다고 생각하고서 더 정쟁하겠다는 것 아니냐”며 “사실상 거기에 응해줄 수는 없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이 운영위 등 6개 상임위에 증인으로 출석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실장이) 총무비서관에서 보임될 당시 인사 참사 등의 문제가 있었나. 그런 문제가 없었는데 국감에 불러야 하느냐”며 “(김 실장을 상임위) 6군데에 부르겠다는 등 정쟁화시키는 건 명백하게 야당”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실에서 (김 실장의) 6개 상임위 출석 여부에 대해 검토한 적은 없다”며 “6곳 나오라는 순간 (논의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더 이상 ‘김현지 국감 출석 건’은 다루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운영위 국감에 나가면 왜 다른 데는 안 나오냐 할 거 아니냐”며 “말도 안 된다”고 밝혔다. 운영위는 오는 15일 전체회의에서 국감 증인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 소속 의원도 이날 기자와 통화에서 “국민의힘에선 김 실장을 통해 이 대통령의 과거 사건들을 재소환해서 ‘이재명 국감’을 해보겠다는 건데, 우리가 그걸 용인해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국힘은) 이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공세를 하는 것이지, 김현지 개인에 대한 공세가 아닌데 김현지가 그걸 굳이 감당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합당한 이유가 있으면 증인으로 채택하겠지만 없지 않은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