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치 인생 10년 내내 함께한 물건이 있습니다. 앞부분에 챙이 달린 캡모자입니다. 그는 가장 최근에는 지난 8월2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전시관에서 ‘TRUMP WAS RIGHT ABOUT EVERYTHING’(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면에서 옳았다)이라고 적힌 모자를 쓴 채 시민들 앞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가장 유명한 모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 표어인 ‘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이 적힌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출마 선언 직후인 2015년 7월23일 텍사스주 러레이도의 미국-멕시코 국경을 방문했을 때 처음으로 언론 앞에 이 모자를 쓰고 나타났습니다. 단정한 양복과 대조되는 캐주얼 캡모자를 쓴 그는 많은 주목을 받았죠.
이후 이 모자는 트럼프 대선 캠페인의 상징적인 아이템이 됐습니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대통령으로 당선됐습니다.
모자에 적힌 문구는 조금씩 바뀌었습니다. 2020년 대선에서는 ‘KEEP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계속 위대하게)이, 2024년 대선에선 ‘마가’와 함께 ‘TREUMP 2024’(트럼프 2024)이 적혀 있었습니다.
정치 전문가들은 가볍고 활용도가 높은 모자에 간결한 문장을 담는 방식으로 유권자들에게 표어를 강렬하게 각인시키는 것이 그의 전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은 ‘FAKE NEWS’(가짜뉴스) ‘BUILD THE WALL’(장벽을 짓자) 등 트럼프 행정부가 하고 싶은 말을 적은 모자를 자체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모자 제조 업체들도 이러한 트럼프 지지자 맞춤 모자를 팔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집권 들어 모자를 ‘이마 위 정책 홍보 전광판’으로 활용하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4월30일 백악관에서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에 대한 고별 내각 회의가 열렸을 당시 각 각료 앞에는 ‘GULF OF AMERICA’(미국만)라고 적힌 모자가 놓여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멕시코만 대신 국제사회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붙인 명칭이죠.
머스크가 당시 ‘DOGE’라고 적힌 또 다른 캡모자 위에 이 모자를 얹자 좌중에선 폭소가 터져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무실 책상에 ‘마가’ 모자를 여러 장 쌓아두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8월25일 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친필 사인이 담긴 이 모자를 선물로 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캡모자 사랑, 어디까지 가는 걸까요? 그는 백악관 집무 공간인 웨스트윙 한쪽에 모자, 스카프, 물병 등이 전시된 ‘굿즈’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 이곳을 함께 들러 흐뭇한 표정으로 모자를 보여줬습니다.
모자 자랑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았습니다. 지난 8월18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패싱’을 우려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유접 정상들이 다급히 백악관을 찾았을 때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을 ‘굿즈 코너’로 데려가 여유롭게 모자를 보여줬습니다. 그가 집어 든 모자 중 하나에는 ‘4 YEARS MORE’(4년 더)이 쓰여 있었습니다. 3선 도전을 암시하는 내용으로 풀이됩니다.
당시 사진이 공개되자 온라인에선 비판 여론이 들끓었습니다. 누리꾼들은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미국을 찾아갔다고 상상해봐라. 근데 미국이 굿즈를 자랑하기 위해 쉬는 시간을 가진 꼴” “당황스럽다” “저속하다” 등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들(유럽 지도자)은 (모자를) 10% 할인받는다”고 비꼰 누리꾼도 있었습니다.
충북 충주시가 반려동물 양육으로 발생하는 이웃 간 갈등을 예방하고 올바른 반려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문화교실을 개설했다.
충주시는 오는 20일부터 11월 7일까지 호암동 반려견놀이터에서 ‘더 가까이 배려하개, 반려동물 문화교실’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문화교실은 6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교육 프로그램은 짖음, 공격성 등 반려동물의 문제 행동을 바로잡는 행동교정 교육을 비롯해 반려견의 운동 능력을 키우고 보호자와의 유대감을 높이는 어질리티(장애물 훈련),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지켜야 할 펫티켓 및 생활 예절 교육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반려견의 체급을 고려해 문화교실을 운영한다. 1회차부터 4회차까지는 15kg 미만의 중·소형견을 대상으로, 5회차는 15kg 이상의 중·대형견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각 회차당 선착순 30명을 모집한다. 참가자는 훈련용 간식과 목줄, 리드줄을 지참하고 참여하면 된다.
교육 마지막 날에인 11월 7일에는 충주시티자이아파트에서 ‘찾아가는 특별 강좌’를 진행한다. 선착순 50명을 대상으로 공동주택 내 반려 예절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충주시는 반려동물로 발생하는 공동주택 내 층간소음, 배설물 문제 등의 해결하고 반려동물 유기를 예방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충주시에서는 최근 5년간 2000여 마리의 유기동물이 구조됐다. 2020년 569마리에서 지난해 326마리로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충주시 관계자는 “이번 문화교실이 반려동물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성숙한 양육 문화를 확산 시켜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했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충주를 반려동물 친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