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다음 달 1일 서울중앙지법에서 구속적부심사를 받는다.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총재와 같은 재판부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8-3부(재판장 최진숙)는 오는 10월1일 오후 2시10분 권 의원에 대한 구속적부심사 심문기일을 연다. 지난 23일 구속된 한학자 통일교 총재도 같은 재판부에서 같은 날 오후 4시 구속적부심사를 받는다.
앞서 권 의원은 지난 29일 구속적부심을 청구했다. 권 의원 측은 “구속사유가 없다“며 ”이 사건 범죄사실을 다투고 있어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 및 재판을 받으며 충분한 방어권을 행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청구 사유를 밝혔다.
구속적부심사는 피의자에 대한 구속이 적법한지를 법원이 심사해 판단하는 절차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권 의원은 통일교 측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1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지난 16일 구속됐다. 권 의원의 구속 만료일은 다음 달 5일로, 특검은 추석 연휴 시작 전 권 의원을 기소할 방침이다.
권 의원과 한 총재의 구속적부심사 결과는 이르면 심사 당일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경기 수원시에서 철강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A사는 올해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다.
수년간 꾸준히 거래해오던 미국 바이어들과의 거래가 끊기면서 매출 역시 곤두박질쳤다. 미국을 타겟으로 해오던 A사는 “올해부터 중동이나 호주 등 다른 판로를 개척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하소연했다.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절반 가량은 이처럼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는 이달 2~23일 수출 실적을 보유한 도내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47.3%가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를 경험한 기업의 52.5%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답했다.
피해 유형을 보면 수출 단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29.3%), 해외 바이어 거래 유지 어려움(28.0%) 등 순으로 많았다. 경과원은 “고관세로 인한 원가 부담이 단순히 기업 수익성 악화에 그치지 않고 기존 거래처의 이탈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체 응답 기업의 55.5%는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이들 기업은 ‘생산비 절감’(20.3%), ‘신규 수출국 발굴’(20.0%) 등의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대신 어느 국가를 신규로 진출하길 희망하느냐’는 물음에는 EU(24.7%), 인도(11.1%), 일본(6.2%) 순으로 조사됐다.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복수응답)에는 62.7%가 ‘수출금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48.0%), ‘해외규격 인증 지원’(47.7%), ‘해외마케팅 대행 지원’(46.7%) 등 순으로 나타났다.
김현곤 경기도경제과학진원장은 “이번 조사로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금융·마케팅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