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좋아요 구매 전남도는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국내 개최 후보지로 여수가 최종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환경부는 2026년 상반기에 예정된 기후주간 국가 유치를 위해 9월부터 국내 개최 도시 공모 절차를 진행했다. 전국 5개 시·도가 신청해 전남(여수), 경기(고양), 제주가 본심에 올랐고, 심사 끝에 전남이 후보지로 낙점됐다.
기후주간은 유엔기후변화협약 주관으로 2021년부터 열리고 있다. 전 세계 198개국 협약 당사국과 국제기구, NGO 등 수천명이 참여한다. 당사국총회(COP) 의제 설정을 위한 고위급 회의가 열려 사전 논의의 장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남도는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지역, 국제 기후·환경 논의의 최적지, 특색 있는 연계 행사와 전시 프로그램, 전남·경남 12개 시군의 연대와 균형 발전 의지를 내세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남도와 여수시는 정부와 협력해 국가 유치 확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회의장과 연계 행사, 숙박·교통 등에서 실용성과 품격을 갖춘 준비를 병행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2026년 기후주간 유치는 대한민국이 기후위기 대응을 주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COP33 유치를 위해 쌓아온 전남의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고, 도민의 열망을 모아 완벽하고 친환경적인 행사가 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심우정 전 검찰총장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대사 임명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심 전 총장은 법무부 차관을 지낼 당시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하는데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특검은 30일 오전 10시부터 심 전 차관을 상대로 피의자 조사를 진행한다. 심 전 총장은 특검 조사를 위해 이날 오전 9시55분쯤 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초한샘빌딩으로 출석했다. 그는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에서 이 전 장관에 대해 출국금지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는 취지로 보고를 했나’ ‘이 전 장관에 대한 출국금지 사실을 알고 있었나’ ‘출국금지 해제 심의에 앞서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하자고 말한 사실이 있는지’ 등을 묻는 취재진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심 전 총장은 지난해 3월 이 전 장관의 도피성 주호주대사 임명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됐다. 당시 법무부와 외교부는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과 관련해 피의자로 입건되어 출국금지 조치까지 됐던 이 전 장관을 주호주대사로 임명했다. 당시 법무부 차관이던 심 전 총장은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하는데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박성재 당시 법무부 장관과 심 전 총장이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사실상 결론을 정해놓고서 출국금지 해제 심의 절차를 형식적으로만 진행한 것이 아닌지 의심한다.
특검은 최근 전임 장관들을 조사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과 귀국 과정에 개입한 정황을 확보했다. 이 전 장관은 최근 특검에서 진행한 참고인 조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9월 중순 무렵에 대사 임명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아울러 특검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을 조사해 지난해 3월 열린 방산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개최하는 과정에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도 확보했다. 이 회의 개최 당시에도 이 전 장관의 귀국을 위해 급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은 심 전 총장을 상대로 출국금지 해제 과정에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대통령실로부터 이 전 장관 출국과 관련한 별도의 지침을 받은 사실이 있는지 등을 추궁할 방침이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심 전 총장을 상대로 법무부가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한 과정 및 이와 관련한 대통령과 법무부장관의 지시사항, 기타 법무부 차관이 하급자에 내린 지시사항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