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음주운전변호사 인공지능(AI) 생태계 중심축인 엔비디아와 오픈AI가 손을 맞잡았다. 엔비디아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최대 1000억달러(약 139조원)를 투자하고, 오픈AI는 이를 기반으로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다.
양사는 오픈AI의 차세대 AI 인프라에 최소 10GW(기가와트) 규모의 엔비디아 시스템을 배치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의향서를 체결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은 “‘초지능’ 구현으로 나아가기 위해 차세대 모델을 학습하고 운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몇주 안에 세부 사항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번 거래를 통해 엔비디아가 오픈AI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최대 1000억달러를 단계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우선 엔비디아의 차세대 ‘베라 루빈’ 플랫폼을 활용해 내년 하반기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사진)는 CNBC 인터뷰에서 “이 프로젝트는 규모 면에서 기념비적”이라고 했다. 황 CEO는 “10GW는 400만∼500만개 GPU(그래픽처리장치)에 해당한다”며 “올해 우리가 1년 내내 출하한 물량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챗GPT 주간 사용자 수는 7억명을 넘어섰다.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려면 AI 인프라 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오픈AI가 잘해야 할 세 가지는 훌륭한 AI 연구를 수행하는 것, 사람들이 쓰고 싶어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 그리고 전례 없는 인프라 도전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력으로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하고, 오픈AI는 안정적인 칩 수급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사는 둘의 파트너십이 오픈AI의 주요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오러클, 소프트뱅크 등과 함께 진행 중인 AI 인프라 협력을 보완한다고 전했다. 오픈AI는 소프트뱅크·오러클과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오픈AI는 엔비디아 투자금을 엔비디아가 생산한 신규 칩 구매에 활용할 예정”이라며 이 같은 ‘순환적 구조’가 AI 업계에서 흔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매체는 순환 구조에 대해 “신규 매출이 진정한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지 아니면 업계 내 자본 재순환에 불과한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왔다”고 짚었다.
최근 엔비디아는 적극적인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인텔에 50억달러를 투자하고 데이터센터와 PC용 칩을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KT ‘무단 소액결제’ 범행 수단으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이 지목된 가운데 정부는 13년 전 해당 장비의 보안 취약성을 연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KISA는 2012년 연구·개발비 4000만원을 투입해 ‘펨토셀 및 GRX 보안 취약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펨토셀이란 가정, 사무실 등에서 통신 음영 해소와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초소형·저전력 이동통신 기지국을 말한다. 1000조분의 1을 의미하는 ‘펨토’와 휴대전화 통화 가능 지역 단위를 말하는 ‘셀’의 합성어다.
연구가 수행된 2012년은 SK텔레콤이 펨토셀 상용화에 착수하고 KT 역시 초고속 인터넷과 결합한 펨토셀 도입을 검토하던 시점이다.
당시 연구보고서는 펨토셀 보안 위협으로 총 29가지를 제시했다. 그중에는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서 나타난 사용자의 인증 토큰 복제가 포함돼 있다. 또한 통신을 주고받는 두 주체 사이에 공격자가 몰래 개입해 정보를 가로채거나 조작하는 MITM(Man-In-The-Middle) 공격 가능성도 포함돼 있다. 이 역시 KT 무단소액 결제 사태에서 나타난 방식이다.
이 의원은 “해당 연구 성과와 활용 방안을 확인하려 했으나 KISA가 문서 보존기간 경과를 이유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당시 별도의 조치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펨토셀 해킹 우려 연구·결과를 묵인한 셈”이라고 말했다.
앞서 2013년 미국의 보안기업 iSEC 파트너스는 펨토셀을 통해 통신 감청과 데이터 탈취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연했다. 비밀번호, 금융정보 등 민감 데이터를 스마트폰 종류와 상관없이 탈취해낸 것이다. 이어 2016년에는 “개인정보 노출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하는 국내 연구(위협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펨토셀 취약점 분석에 대한 연구, 김재기·신정훈·김승주)도 나왔다.
통신 3사는 펨토셀을 통해 문자·통화를 가로챌 수 없도록 종단 간 암호화 조치를 취했으나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구형 펨토셀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KT가 보유한 펨토셀은 23만2000대로 SK텔레콤(7000대), LG유플러스(2만8000대)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그중 최근 3개월간 작동하지 않았거나 고장난 펨토셀은 4만3000대에 이른다. KT는 이 같은 펨토셀에 대해선 철거·회수, 접속 차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