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마케팅 유엔 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차량 행렬의 경호를 위해 도로가 막히자 시민들과 함께 길거리를 걷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프랑스 매체 브뤼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나온 마크롱 대통령이 뉴욕 경찰의 통제에 가로막혀 시민들과 함께 도보로 이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전했다.
총회장을 빠져나가는 트럼프 대통령 차량 행렬을 경호하기 위해 경찰이 차량 통행을 막자 회의를 마치고 프랑스 대사관으로 향하던 마크롱 대통령도 예외 없이 차량에서 하차했다.
공개된 영상 속 한 경찰관이 마크롱 대통령에게 “죄송합니다 대통령님. 현재 모든 길이 막혀 있습니다”라고 말하자 마크롱 대통령은 곧장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내가 지금 무얼 하고 있는지 추측해보세요. 지금 당신을 위해 모든 길이 막혀있고 나는 기다리고 있다”고 웃으며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차량 행렬이 지나간 이후에도 도로에는 보행 통행만 허용됐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대사관까지 30분 거리를 걸어가며 트럼프 대통령과 계속 통화했다고 알려졌다.
이날 마크롱 대통령은 도로 위에서 만난 시민들과 함께 셀카를 찍기도 했다.
해당 영상이 소셜미디어에 확산하자 프랑스 누리꾼들은 미국 측 배려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한 누리꾼은 엑스에 “좋든 싫든 모든 국가 원수들이 미국을 방문한 것”이라며 “정치적 입장을 차치하고서 미국의 태도는 상당히 품위 없다”고 적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유엔 총회장에서 열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에서 팔레스타인을 공식 국가로 선언했다.
경찰이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사건에서 ‘위장수사’로 4년간 2171명을 검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021년 9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 사건에 대한 위장수사 제도를 도입한 이후 765건의 위장수사를 실시해 2171명을 체포하고 130명을 구속했다고 23일 밝혔다.
위장수사 제도는 이른바 ‘n번방’과 ‘박사방’ 등 디지털 성착취 사건을 계기로 청소년성보호법이 개정되면서 도입됐다. 경찰은 아동·청소년을 상대로 한 디지털 성범죄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경찰관 신분을 밝히지 않거나 부인하는 ‘신분 비공개수사’, 경찰관 외 신분으로 위장하는 ‘신분 위장수사’를 할 수 있다.
수사 결과 전체 위장수사 765건 중 유포 범죄가 591건으로 가장 많았다. 성착취물 제작 사건이 102건, 성착취 목적으로 대화를 한 사건은 46건이었다. 성착취물을 구입하거나 소지·시청한 건 25건이었다.
위장수사로 검거된 사람 중에는 성착취물을 판매하거나 배포한 사람이 136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구입·소지·시청 혐의가 530명, 성착취물 제작 혐의 211명, 성착취 목적으로 대화를 한 피의자가 67명 있었다.
기존 위장수사 제도는 피해자가 성인이면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지난해 인공지능(AI) 딥페이크 영상 합성 기술을 통한 성착취 범죄가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관련 법이 개정됐다. 올해 6월부터 허위영상물과 불법촬영물 등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에 대해서도 위장수사를 할 수 있게 됐다. 경찰은 성인 대상 디지털 성범죄 위장수사를 36건 실시해 93명을 검거하고 이 중 1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경찰청 관계자는 “위장수사 제도를 오남용하지 않기 위해 국회와 경찰위원회에 수사 종료 시 관련 자료를 제출하는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현장 점검도 계속 실시하고 있다”며 “성착취물은 장난으로 제작하거나 단순 호기심으로 소지하거나 시청해도 엄격히 처벌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