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장검사출신변호사 의사·방사선사·간호사 등 의료현장에서 방사선 장비를 다루는 종사자들의 방사선 노출이 지난 20년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인체가 방사선에 노출된 정도)은 0.36밀리시버트(mSv)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4년(0.97mSv)에 비해 63%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종사자 수는 3만3000명에서 11만3610명으로 3.4배 늘었다.
직종별로는 방사선사의 평균 피폭선량이 0.73mSv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사(0.25mSv), 치과의사(0.18mSv), 치과위생사(0.15mSv), 간호사(0.13mSv) 순이었다. 방사선사는 진단용 방사선 장비를 직접 다루기 때문에 다른 직종보다 노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최근 5년간 피폭선량은 0.86mSv에서 0.73mSv로 15% 이상 줄었다. 반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일부 직종은 소폭 증가했다.
방사선관계종사자는 30~40대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피폭선량이 가장 높은 것은 20대였다. 특히, 20대 방사선사의 연평균 피폭선량은 1.25mSv로 직종·연령 구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방사선은 질병 진단과 치료에 필요하지만, 과다노출 시 암 발생 등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방사선관계종사자가 방사선 방어 앞치마와 같은 방어기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등의 안전 수칙을 준수하도록 강조해 왔다.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피폭선량이 높은 경우 사전 주의 통보를 실시하고, 같은 기관에서 2회 이상 통보 사례가 발생하면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한다. 또 의료기관에 안전관리책임자를 지정해 정기적으로 교육받도록 하고 있다.
질병청은 “안전한 의료방사선 환경조성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인식개선과 안전관리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와 피폭선량 관리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이 마일리지 전용기를 유럽·동남아로 확대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10∼12월 인천발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태국 푸껫 노선에 국제선 마일리지 전용기를 총 38편 투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이들 항공편은 다음 달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인천∼프랑크푸르트 20편, 다음 달 28일부터 12월 26일 인천∼푸껫 18편으로 주 1회씩 띄운다.
예약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받으며 잔여석은 구매도 가능하다.
프랑크푸르트 노선은 매주 수요일 오전 9시(이하 현지시간)에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프랑크푸르트에 오후 3시 15분에 도착하고, 돌아오는 편은 수요일 오후 5시 35분에 출발해 다음 날 오후 1시 35분 인천에 내린다.
푸껫 노선은 화요일 오후 4시에 인천공항을 출발해 푸껫 공항에 오후 9시 10분에 도착하고, 돌아오는 편은 금요일 오후 10시 45분에 출발해 다음 날 오전 6시 45분 인천에 도착한다.
아시아나항공은 두 노선에 495석의 A380과 298석의 A330 기종 등 중대형기를 투입해 마일리지 좌석 공급을 극대화했다.
공제 마일리지는 프랑크푸르트 노선 편도 기준 이코노미 클래스 3만5000마일, 비즈니스 클래스(비즈니스 스마티움) 6만2500마일이다. 푸껫 노선은 편도 기준 이코노미 2만마일, 비즈니스 3만마일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오는 6∼10월 진행하는 미주 노선 마일리지 전용기에 대한 고객 만족도가 높아 유럽과 동남아 노선으로 마일리지 전용기를 확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