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학교폭력변호사 동인도회사, 제국이 된 기업윌리엄 달림플 지음 | 최파일 옮김 | 생각의힘 | 656쪽 | 3만7000원
“일개 상업회사가 2억명의 나라를 노예로 만들었다.”
1908년 레프 톨스토이가 어느 힌두교도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상업회사’란 영국 동인도회사를 가리킨다. 동인도회사는 1765년 무굴제국을 제압한 뒤 1857년까지 약 100년에 걸쳐 인도를 통치했다. 창업(1600년) 이후 100년이 지난 시점에도 본사 직원이 35명에 불과했던 일개 기업이 어떻게 오스만제국보다 다섯 배나 인구가 많고 전 세계 제조품의 4분의 1을 생산하던 대제국을 계열사처럼 주무를 수 있었을까.
책은 특히 1756년과 1803년 사이의 시기에 집중한다. 동인도회사가 “일개 무역 회사에서 어엿한 제국적 세력으로 대두”한 시기다. 베테랑 역사 저술가인 저자는 런던 영국도서관 문서고와 뉴델리 인도 국립문서고에 보관된 동인도회사의 문서와 페르시사어 역사서 등을 활용해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서사를 완성했다.
인도에 대한 무역 독점권, 군대 투입권, 징세권까지 보유했던 동인도회사는 왕실과 영국 의회의 비호, 주주들의 탐욕을 통해 급속히 성장했다. 가톨릭과 단절하면서 유럽에서 고립됐던 왕실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동인도회사에 막강한 권한을 위임했다. 동인도회사는 의원들을 주식으로 매수했고, 매수된 의원들은 의회의 입법을 회사에 유리하게 왜곡했다.
동인도회사가 기업-제국으로 군림하는 동안 인도인들은 과중한 세금과 기근에 시달렸지만, 주식회사였던 동인도회사는 주주의 이익만 챙겼다. “무질서와 타락은 더는 모습을 감추려 하지 않았고 한때 평화로웠던 인도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그사이 무굴 군주정은 실체가 사라졌고 그저 이름뿐이거나 희미한 그림자만 남게 되었다.”
서울 한강버스가 정식 운항 첫날인 18일 첫 배부터 탑승권이 매진됐다. 이날 한강버스 선착장에는 가족단위 승객부터 자전거 동호회 등도 몰렸다. 서울시가 밝힌 ‘출퇴근용’ 용도보다는 ‘관광용’으로서 가능성이 확인된 셈이다.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한 마곡선착장은 오전 11시 첫 배에 맞춰 나온 시민들로 일찌감치 붐볐다.
그러나 예정된 오전 11시 출발 150석이 일찌감치 매진되면서 한강버스를 타러 나온 시민들은 다음 배를 타기 위해 대기표를 받아야 했다. 그러나 다음편인 오후 12시30분 배편 탑승을 위한 대기표도 10분만에 매진됐다.
이날 탑승한 승객들은 대부분 한강버스를 타고 경치를 감상하러 온 관광객들이었다.
한강버스는 폭염 속 시승운전 당시 문제로 제기됐던 ‘먹통 에어컨’ 문제도 해결해 승객들은 쾌적환 환경 속에서 배를 탈 수 있었다.
이날 오전 반차를 내고 한강버스를 타고 온 김승연씨(38)는 “매번 한강을 밖에서만 보다가 한강을 달려보니 보이는 풍경도 색달랐다”며 “여행 온 기분도 들고, 좋았다”고 말했다.
김씨는 다만 “이걸 타고 출근하는 건 엄두가 나지 않는다”며 “가끔 기분전환용으로 타고 싶다”고 말했다. 김씨는 한강버스를 타기 위해 교통카드도 기후동행카드로 바꿨다고 했다.
한강버스의 속도는 시속 22~23㎞로, 유람선(시속 10~15㎞)보다는 빠르지만 속도감을 강하게 느낄 수준은 아니다. 서울시는 당초 마곡~잠실까지 편도 75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으나, 속도를 줄이면서 127분이 소요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시승행사에서 “이 교통수단은 다른 교통수단이 가지고 있지 않은 개성이 있다”며 “도시 생활 속 스트레스와 압박으로부터 힐링, 자유, 치유 기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식 운항 시작 이후 두 달 내로 평가가 이뤄지고 내년 봄이 되면 본격적으로 가늠이 가능한 시점이 될 것”이라며 “생각보다 느리다는 걱정이 많은데 모든 것은 서울 시민들의 평가와 반응에 달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