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머니 경기도는 오는 27일 선감학원 옛터인 경기창작캠퍼스에서 제10회 선감학원 추모문화제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선감학원은 1942년부터 1982년까지 국가 주도로 아동과 청소년을 수용해 강제노역, 폭력 등 인권침해가 자행됐던 공간이다.
경기도는 이러한 역사적 비극을 잊지 않고 생존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2016년부터 추모문화제를 이어왔다. 올해로 10회째다.
이번 추모문화제에는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와 유가족, 경기도민 등 약 3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된다. 행사는 신나는문화학교가 주최하며, 경기도가 후원했다.
행사는 ‘역사문화 탐방’으로 시작한다. 출발지는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들이 처음 선감도에 도착했던 선착장이다. 선감학원 옛길을 따라 생존 피해자가 직접 해설하는 것을 들으며, 도착지인 경기창작캠퍼스에 도착하면 희생자를 기리는 ‘위령제’까지 참여할 수 있다.
이후 선감학원 추모문화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개회식이 있을 예정이다. 추모사와 헌화 의식이 함께 거행된다. 이어지는 문화예술 행사에서는 북·무용·합창 등의 공연, 편지 낭독, 연극(생존 피해자 참여) 등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경기도는 올해 선감학원 사건 소송 ‘상소 취하’ 결정과 ‘유해발굴 완료’ 등 의미 있는 전환점을 배경으로 추모문화제의 의미를 더할 계획이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이번 추모문화제가 많은 분들께 선감학원의 아픈 역사를 공감하며 치유와 화합의 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생존 피해자들을 위한 진정성 있는 행정과 지원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 선감학원 사건 피해지원 대책으로 피해자지원금과 의료지원을 포함해 선감학원 희생자 유해발굴, 옛터보존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은행 계좌가 없어 산재보상금을 받지 못한 외국인 노동자에게 현금으로 보상금을 지급한 첫 사례가 나왔다.
경기도는 은행 계좌가 없어 산재보상금을 받지 못한 외국인 노동자가 현금으로 보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개선을 이끌어냈다고 18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아프리카 출신 노동자 A씨는 지난해 3월 안산 제조업 공장에서 일하다 왼쪽 발을 크게 다쳐 산재를 인정받았다. 치료는 무리 없이 진행됐지만 다친 부위에 영구적인 장해가 남아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장해등급 판정을 받고 보상금 400여만원을 받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난민 출신의 A씨는 여권과 신분증이 없어 계좌 개설이 불가능했고, 근로복지공단은 이런 이유에서 A씨에 대한 보상급 지급을 미뤄왔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에는 ‘보험급여를 계좌로 이체할 수 없을 때에는 현금 지급이 가능하다’는 규정이 있지만, 고용노동부에 관련 지침이 없기 때문에 지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는 다양성소통조정위원회를 통해 고용노동부에 현금 수령이 가능하도록 건의했고, 고용노동부는 이를 수용해 현금 지급이 가능하도록 지침을 마련했다. 다양성소통조정위원회는 내외국인 주민 간 갈등을 해결하고 민원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기구로, 공공기관·시민단체·전문가 등 14명이 활동하고 있다.
도는 “고용노동부가 지난 4일 ‘은행 계좌 개설이 불가능한 경우 예외적으로 현금 지급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도에 알렸다”며 “보상금을 받지 못할 뻔했던 외국인 노동자가 근로복지공단 안산지사에서 장해보상금을 전액 현금으로 수령했다”고 전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여러 이유로 여권이나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없어 은행 계좌 개설이 불가능해 보상금을 받지 못했던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보상금을 현금으로 지급한 전국 첫 사례”라며 “경기도의 건의를 고용노동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해 제도 운영의 사각지대를 해소한 것으로, 앞으로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주민 관련 제도적 공백을 적극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1조4000억원대의 카타르 최대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국영 에너지 회사인 카타르에너지가 발주한 ‘듀칸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낙찰통지서를 받고 발주처인 카타르에너지와 서명 행사를 했다고 17일 밝혔다.
듀칸 태양광 발전은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서쪽으로 80㎞ 떨어진 듀칸 지역 약 27㎢ 부지에 발전 용량 2000㎿의 태양광 시설을 세우는 사업이다. 카타르는 지난해 이 사업 계획을 공개하고 올해 초부터 입찰을 진행했다. 설계·조달·시공 금액은 약 1조4600억원이다.
발전 용량 2000㎿는 카타르 전체 태양광 발전 용량의 80%에 이르는 규모이며, 한국 건설사가 시공하는 태양광 발전사업 중 역대 최대 용량이기도 하다. 삼성물산은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 과정을 단독 수행한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기존 태양광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신뢰를 바탕으로 계약에 이르게 됐다”며 “신재생 분야 글로벌 플레이어로 확고하게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