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시험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자녀 연령 기준이 기존 8세에서 12세 이하로 확대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의 국가공무원법 개정안을 마련해 내달 입법예고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개정안은 현재 8세(초등 2년)까지인 육아휴직 대상 자녀의 나이 기준을 12세 이하(초등 6년)로 확대했다.
육아휴직 기간은 전부 승진 경력으로 인정되며, 자녀 1명당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쓸 수 있다.
인사처는 이번 개정을 통해 돌봄이 필요한 시기에 자녀를 직접 돌보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육아친화적 공직문화와 국민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인사처는 그간 공무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돕기 위해 육아휴직 제도를 보완해왔다. 1994년 국가공무원법 도입 당시 1세 미만 자녀에게만 허용됐던 육아휴직은 여러 차례 제도 개선을 거치며 현행 8세까지 확대됐다.
이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전체 공무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0년 44.8%, 2021년 45.0%, 2022년 48.8%, 2023년 52.2%, 지난해 56.1% 등으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다만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2025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개막 20일 만에 누적 관람객 10만명을 넘어섰다. 전통과 현대, 동서양을 아우르는 작품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으면서 당초 목표인 40만명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사무국은 18일 “지난달 30일 개막 이후 누적 관람객이 1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 후기 대표 수묵화가 공재 윤두서의 ‘세마도’ 진본이 321년 만에 최초로 공개됐고, 영상과 설치, 미디어아트 등으로 확장된 작품들이 젊은 세대 관람객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목포문화예술회관의 수묵 비치코밍 아트, 해남 땅끝순례문학관의 슈링클스 키링 만들기 등 청소년과 가족 단위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도 관람 열기에 힘을 보탰다.
해외 문화예술 관계자는 “한국 수묵은 전통의 뿌리가 깊으면서도 현대적으로 변주돼 인상적이었다”며 “지난 회차보다 한층 국제적이고 세련된 구성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비엔날레는 오는 10월 31일까지 목포, 진도, 해남 등 전남 일원에서 열린다. 국내외 작가 83명이 참여해 전통과 현대 수묵을 아우르는 작품을 선보이며, 학술 심포지엄과 공연 등 다양한 부대 행사도 마련됐다.
김형수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사무국장은 “관람객의 뜨거운 호응이 올해 성공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며 “세계 유일의 수묵 비엔날레로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