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상간녀변호사 일본 정부가 자국 데이터와 기술에 기반한 국산 인공지능(AI)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18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생성형 AI 시장에서 미·중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데이터 유출 등 안보 우려가 있어서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국립연구개발법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20년가량 수집한 일본어 데이터를 AI 기업 프리퍼드네트웍스에 제공할 예정이다.
일본의 문화·관습·제도 등에 대해 신뢰성 높은 응답을 내놓는 AI를 만들어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두루 활용하는 것이 목표다. 개발한 국산 AI는 IT 기업 사쿠라인터넷이 일본 내 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총무성과 경제산업성은 고품질 일본어 데이터 정비, 스타 기술자 영입, 개발 인프라 지원 등을 위한 자금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요미우리는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제공,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 데이터 센터 운영까지 모두 일본 기업·기관이 담당하는 ‘국내 완결형’ AI 개발·제공이 목표”라고 전했다.
일본에선 현재 챗GPT, 딥시크 미국 및 중국산 AI 사용이 확산해 있다. 이같은 외국산 AI의 경우 학습 데이터 등 개발 과정이 불투명해 “일본 입장에서 허용하기 힘든 데이터가 학습되고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영어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뤄지는 외국산의 경우 일본 고유의 문화, 역사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AI를 개발한 국가의 이념에 영향받는다는 문제점도 있다고 매체는 짚었다. 지난 1월 중국 딥시크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일본 영토냐”는 오노데라 이쓰노리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질문에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답변해 논란이 인 바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공무원과 국민에게 딥시크 이용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다.
요미우리는 “미국과 중국이 개발한 AI를 주로 활용하는 일본 기업도 늘고 있어서 외국 AI 의존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12·3 불법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오는 21일 심우정 전 검찰총장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특검은 심 전 총장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취소 결정 당시 즉시항고를 포기한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19일 “오는 21일 오전 10시 심 전 총장을 피고발인(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은 지난달 25일 대검찰청 검찰총장실과 심 전 총장의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심 전 총장이 즉시항고를 포기한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앞서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1월26일 윤 전 대통령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했는데 법원은 윤 전 대통령이 법적인 구속기간을 지나 기소됐다며 지난 3월7일 구속취소 결정을 했다. 이어 검찰은 상급 법원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는 즉시항고를 하지 않았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심 전 총장을 직무유기 등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했고 내란 특검으로 이첩됐다.
특검은 심 전 총장에게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과 계엄 당일 계엄 합동수사본부에 검사 파견을 검토하며 계엄 후속 조치에 가담했는지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