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음주운전변호사 강원도는 사실상 농지로 활용하기 어려워진 13개 시·군의 104개 구역 121㏊를 농업진흥지역에서 해제·고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 인해 축구장(0.714㏊) 면적의 170개에 달하는 토지를 지역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길이 열리게 됐다.
‘농지법’ 제32조에 따라 도로·철도·하천·택지 개발 등으로 본래 집단화한 농지와 고립된 3㏊ 이하의 자투리 농지를 규제에서 풀어준 것이다.
2019년 소규모 농지 17㏊를 농업진흥지역에서 해제한 이후 5년 만에 추진된 이번 정비사업은 강원특별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해제와 달리 별도의 개발계획이 필요하지 않다.
이번 해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승인(1㏊ 초과 시)과 관계기관 협의, 주민 의견 청취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됐다.
이후 해제 대상지의 면적과 지적 등을 확인한 후 현장 조사를 통해 사업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지역별로는 원주시가 38.7㏊로 해제 면적이 가장 크다.
또 홍천군 24.9㏊, 고성군 15.1㏊, 양양군 14㏊ 등의 순으로 해제 면적이 컸다.
소규모 농지의 농업진흥지역 해제를 통해 다양한 건축 행위 등 토지 활용이 가능해져 주민 재산권 행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앞으로도 불합리한 규제를 과감히 개선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경찰이 롯데카드 해킹 사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관련 언론 보도, 롯데카드의 자체 발표 등을 근거로 인지 수사에 나섰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테러수사대가 롯데카드 해킹 사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19일 기자와 통화에서 “피해가 있으면 피의자 확인이 되지 않아도 수사할 수 있다”며 “롯데카드 측이 먼저 피해가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수사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경찰은 해킹 주체가 누구인지, 탈취된 고객 정보가 어디까지인 지 등을 수사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자체 조사 결과, 해킹으로 피해를 본 고객은 297만명 정도”라고 밝혔다. 이 중 28만명은 카드번호, 비밀번호, 유효기간, CVC, 주민등록번호 등 결제에 필요한 정보가 유출됐다. 해킹은 지난달 14일 진행됐는데 회사 측은 지난달 26일에야 이를 파악했다. 또 롯데카드는 당초 정보 유출 규모가 1.7기가바이트(GB)로 파악했으나 금융당국과 함께 현장 조사한 결과 200GB의 데이터가 반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SKT, KT 등 통신사에 이어 카드사까지 해킹 당하자 합동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는 이날 합동 브리핑에서 해킹 사고를 지연 신고할 경우 더 많은 과태료를 물리고 사고 발생 피해에 따른 징벌적 과징금을 도입하는 방안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