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최근 인공지능(AI) 인재를 대거 영입한 데 이어 AI 데이터센터 건설에도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백악관 내각 회의에서 메타가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계획 중인 AI 데이터 센터 건설 비용이 500억 달러(약 7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로부터 받았다며 그래픽을 들어 보이며 “시설 하나에 500억 달러라고 했을 때 나는 ‘도대체 그게 무슨 종류의 시설이냐?’고 물었다”고 말했다.
이 그래픽은 데이터 센터의 규모를 보여주기 위해 뉴욕 맨해튼 위에 겹쳐놓은 이미지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것을 보면 왜 500억 달러인지 이해된다”고 덧붙였다.
메타는 루이지애나주 리치랜드 패리시에 자사의 최대 규모 데이터 센터를 건설 중이다. 이 시설은 AI가 수행할 막대한 연산 작업을 처리할 예정이다.
‘하이페리온’(Hyperion)이라는 이 데이터 센터에 대해 메타는 그동안 1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고만 공개적으로 밝혀 왔는데 이보다 훨씬 큰 규모인 셈이다.
메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논평하지 않았다.
앞서 메타는 미국 내 AI 데이터 센터 구축을 위해 총 290억달러(약 39조5000억원)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메타는 올해 6월 AI 사업을 ‘초지능 연구소’로 재편하며, 오픈AI 등 경쟁사로부터 1인당 최고 수천억원을 쏟아부으며 수십 명의 AI 인재를 영입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지난달 메타가 수천억 달러를 투입해 초지능 연구소를 위한 대규모 AI 데이터 센터 여러 곳을 건설할 것이라며 최고의 엔지니어 인재 확보 경쟁 속에서 자신이 추구해온 기술에 대한 투자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광복 후 80년 동안 한국 경제는 국내총생산(GDP)이 5만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27일 광복 80년을 맞아 발표한 ‘통계로 본 한국 사회 변화상’을 보면 GDP는 1953년 477억원에서 지난해 2557조원으로 약 5만3000배 늘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67달러에서 3만6000달러 수준으로 뛰었다. 다만 1960~1980년대 고도성장의 시기에 성장률이 연 10%를 웃돌았으나 2010년대 이후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했다.
1961년 주요 수출 품목은 철광석, 중석, 무연탄 등 원자재가 대부분이었지만 1980년대 의류를 거쳐 2000년대에는 반도체로 바뀌었다.
인구는 1949년 2019만명에서 2024년 5181만명으로 약 2.5배로 증가했다. 연령 구조는 1960년 이전에는 고출생과 고사망의 특징을 가진 피라미드형이었으나 출생률 감소·기대수명 증가로 항아리형으로 바뀌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1955년 18.3%에서 2024년 50.8%로 커졌다.
결혼하는 나이는 늦어졌다. 1990년 27.8세였던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지난해 33.9세로 6.1세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도 24.8세에서 31.6세로 6.8세 높아졌다. 가족 형태는 대가족에서 핵가족을 거쳐 1인 가구 중심으로 변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970년 5.2명에서 2023년 2.2명으로 절반 넘게 줄었다. 1995년에는 고령자 약 40%가 자녀·손자녀와 같이 살았지만 2023년 고령자의 7.5%만이 자녀·손자녀와 동거했다.
경제위기와 양극화, 각종 사회적 문제 등으로 자살이 급증했다. 자살사망률은 1983년 인구 10만명당 8.7명에서 2011년 31.7명으로 늘어난 뒤, 2023년 27.3명 수준으로 다소 줄었다. 근로시간은 지속적으로 줄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1970년 월평균 근로시간(225.3시간)은 OECD 평균(153.4시간)의 1.5배 수준이었지만, 2024년에는 164.1시간으로 OECD 평균(142.3시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가수 임영웅이 오는 29일 정규 2집 로 돌아온다고 소속사 물고기뮤직이 28일 밝혔다. 2022년 5월 이후 약 3년 만에 내는 정규앨범이다. 오는 10월부터는 전국투어 공연으로 팬들과 만난다.
타이틀곡은 ‘순간을 영원처럼’이다. 임영웅의 감미로운 목소리와 ‘길지 않은 인생 잘 살아보고 싶어. 마음껏 사랑을 해보려 해’라는 가사가 잘 어울리는 곡이다. 타이틀곡 뮤직비디오는 음원 공개를 하루 앞둔 이날 오후 6시 공개된다.
이번 앨범에는 총 11곡이 수록된다. 타이틀곡 외에도 ‘답장을 보낸 지’, ‘ULSSIGU’, ‘들꽃이 될게요’, ‘비가 와서’, ‘Wonderful Life’, ‘그댈 위한 멜로디’, ‘돌아보지 마세요’, ‘알겠어요 미안해요’, ‘나는야 HERO’, ‘우리에게 안녕’을 감상할 수 있다. 모든 음원은 29일 오후 6시에 공개된다.
팬덤 결속력이 높은 ‘음원 강자’ 임영웅인 만큼 컴백과 동시에 차트 줄 세우기가 예상된다. 임영웅은 4개월 넘게 신곡을 내지 않았는데도 이날 오후 2시 기준 음원 플랫폼 멜론 ‘톱(Top) 100’ 차트에 8곡을 올렸다. 지난 4월 공개한 ‘천국보다 아름다운’(JTBC 동명의 드라마 OST)는 발매 후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을 돌파했고, 지난해 5월 발표한 싱글 <온기>는 같은 기간 내 200만 스트리밍을 넘어섰다.
이날 CGV에서는 신곡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자리인 청음회도 열렸다. “오랜 시간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를 팬들과 가장 먼저 나누고 싶다“는 임영웅의 의지에서 마련된 행사다. 전국 CGV 56개 극장에서 진행된 이 행사는 약 5만명(좌석수 기준)을 동원했다고 CGV 측은 밝혔다.
이번 앨범은 디지털 음원으로만 들을 수 있다. 음악을 들을 수 있는 CD 형태로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새 앨범 발매를 기념한 포토북( 앨범북)이 제작됐다. 임영웅의 화보로 구성된 앨범북은 총 144쪽으로, 임영웅 공식 MD몰인 아임히어로몰에서만 단독 판매한다.
임영웅은 오는 10월부터 전국투어를 개최한다. 인천을 시작으로 대구, 서울, 광주, 대전 순서로 공연을 열고 팬들과 만난다.
정부가 29일 총지출 728조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이 의결했다. 내년도 예산안 728조원은 올해 예산안 대비 54조7000억원(8.1%) 증가한 것으로 2022년(8.3%)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리 경제는 신기술 주도의 산업경제 혁신, 외풍에 취약한 수출 의존형 경제 개선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며 “내년도 예산안은 이러한 두가지 과제 동시에 해결하고 우리 경제의 과제를 해결하고 경제 대혁신을 통해 회복과 성장을 끌어내기 위한 마중물”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지금은 어느 때보다 재정의 적극적 역할 필요한 시점”이라며 “뿌릴 씨앗이 부족하다고 밭을 묵혀 놓는 그런 우를 범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씨앗을 빌려서라도 뿌려서 농사를 준비하는 게 상식이고 순리”라고 덧붙였다.
전태일재단과 경향신문사가 공동 주최한 제33회 전태일문학상과 제20회 전태일청소년문학상 수상자가 선정됐습니다. 우리 삶의 현장을 올곧게 그려낸 신인 작가들의 활동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