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안전한 임신중 | |||||
---|---|---|---|---|---|
작성자 | (211.♡.145.106) | 작성일 | 25-08-10 22:55 | ||
동두천치과 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 소속 활동가들이 지난 2023년 4월9일 서울 용산구 용산역 광장에서 낙태죄 폐지 2주년을 맞아 국가에게 임신중지를 건강권으로 보장할 것을 요구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2019년 헌법재판소가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지 6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관련 입법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에선 이 같은 낙태죄 입법 공백을 우려하는 토론회가 열리기도 했는데요. 대체 정부·국회는 무얼 하고 있는 건지, 정부·국회의 이 같은 직무유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점선면이 정리해드립니다.점(사실들): 6년 전 낙태죄 폐지됐지만 입법 미루는 국회헌법재판소는 2019년 4월11일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습니다. 헌법불합치란 해당 법률을 위헌으로 보지만, 당장 법률을 무효화시키면 발생할 수 있는 입법 공백과 사회적 혼란을 막기 위해서 법 개정이 이뤄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그 법을 존속시키는 결정을 뜻합니다. 국회는 헌재 결정에 따라 2020년 12월31일까지 법 개정을 해야 했지만 하지 않았고, 1953년부터 66년간 형법 제269조·제270조에 명시돼 있던 낙태죄는 2021년 1월1일자로 효력이 상실됐어요.헌재 결정의 의미는 바로 ‘여성의 자기 결정권’이 인정됐다는 겁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관계를 ‘가해자 대 피해자’라는 대립적인 관계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헌법불합치 의견을 낸 재판관들은 여성들이 자신이 처한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임신·출산·육아를 도저히 감당할 수 없고, 자녀가 출생하면 어머니 본인뿐만 아니라 태어날 자녀도 불행해질 것이라는 판단하에 낙태를 결심한다고 봤습니다. 즉 임신한 여성과 태아는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하나의 운명 공동체이며, 모자의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겁니다.하루빨리 입법 공백을 메워야 할 국회는 지난 6년간 대체 뭘 했을까요. 낙태죄 폐지 결정 이후 21대 국회에서 형법, 모자보건법 등 관련 개정안이 다수 발의됐지만, 낙태 허용 주수를 놓고 의견이 갈리면서 모두 폐기됐습니다. 이번 22대 국회에서는 지난달 모자보건법 개정안 2건이 발의되긴 했지만, 낙태죄 입법 공백을 메우기 위한 국회의 치열한 논의는 보이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국회가 낙태죄 입법 공백에 대해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 베이징 이좡에 마련된 로봇 전시관, 사람들이 가득 모여있는 사각의 링에 가보니 안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생 크기의 로봇이 주먹질과 발길질을 하며 격투를 벌이고 있었다. 중국 대표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인 유니트리의 ‘G1’이 로봇 격투기 대회를 시연한 것이다.옆 전시관에선 부스터로보틱스가 최근 로봇 축구 월드컵 대회에서 우승한 모델 ‘T1’의 축구 대회를 진행하고 있었다. 비록 사람처럼 자유자재 움직임을 보여주진 못했으나 공을 향해 뛰어가고 발차기까지 선보여 탄성을 자아냈다. 8일 중국 베이징 ‘세계 로봇 콘퍼런스’ 전시관에서 공장처럼 꾸며진 유비테크 부스 내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전시돼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베이징 이좡 경제기술개발구에서 지난 8일 ‘2025 세계 로봇 콘퍼런스’(WRC)가 열렸다. 최근 전세계 화제였던 유명 휴머노이드 로봇이 총출동해 이목이 집중됐다. 중국 정부도 로봇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드러냈다.사람 모습 갖춘 로봇 대거 등장, 관심 급증해WRC 개막 첫날, 평일 오후였음에도 입구에서부터 전시관에 입장하려는 사람들이 붐비며 혼잡한 모습을 연출했다. 작년 박람회 때도 어린이들을 동반한 관람객이 많았으나 그간 휴머노이드 로봇에 높아진 관심을 나타내듯 20~3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더 다양한 연령층, 더 많은 인파가 몰렸다.전시관에 입점한 로봇들의 기술 수준도 크게 성장했음을 체감했다. 1년전부터 전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한 유니트리를 비롯해 다양한 로봇 기업들이 참가해 기술력을 뽐냈다. 유명 로봇 기업이 아니어도 크고 작은 업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크고 작은 로봇 모델을 들고 와 홍보하기 바빴다. 격투기나 축구 시연뿐 아니라 이전에는 단순히 손짓, 몸짓 흉내에 그쳤던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직접 짐을 분류하고 옮기기도 하고 사족 보행 로봇들은 공중제비를 도는 등 더 날렵한 움직임을 보였다. 유비테크 부스엔 스스로 배터리를 교체해 화제가 됐던 ‘워커 S2’가 전시돼 관람객들이 몰렸다. 공장처럼 연출한 부스에서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작업자처럼 배치돼 상용화 단계가 머지않았음을 시사했다. 8일 중국 베이징 ‘세계 로봇 콘퍼런스’ 전시관 부스터로보틱스 부스에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축구 경기를 하고 있다. (영상=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동두천치과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