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학교폭력변호사 경영난에 빠진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이 업계 베테랑으로 통하는 신임 수장을 임명하면서 다시 한 번 쇄신에 나섰다. 구원투수로 기대를 모은 전임 수장이 재건에 실패한 가운데 새로운 리더십 아래 반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인텔은 새 최고경영자(CEO)로 립부 탄 전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CEO(65)를 임명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12월 전임 팻 겔싱어 CEO가 사임한 지 3개월 만이다.말레이시아 태생의 탄 CEO는 싱가포르 난양공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에서 원자력 공학 석사, 샌프란시스코대에서 MBA를 취득했다. 벤처 투자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2004년 케이던스 이사회에 합류했고, 2009년부터 CEO를 지냈다. 케이던스는 인텔을 포함한 주요 반도체 설계 회사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다.탄 CEO는 반도체 업계 전문성을 인정받아 2022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인텔 이사회 멤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이 여당의 상법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 건의에 “직을 걸고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13일 밝혔다. 상법 개정안에 여러 부작용이 있긴 하지만 자본시장 선진화 차원에서 상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이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에서 ‘기업·주주 상생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토론’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저는) 재의요구권을 행사하시라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건의드릴 입장이라기보단 오히려 직을 걸고 반대해야 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이날 본회의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에 대해 국민의힘은 기업 경영권 침해 소지가 있다며 최 대행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하겠다고 밝혔다.이 원장은 “재의요구권 행사는 그간 명확히 헌법적 가치에 반하는 것들에 대해 이뤄져왔는데, 이번 건이 과연 거기에 해당하는지 의문이 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다른 사람도 아닌 경제팀(최 대행 지칭)에서 다시 원점으로...
프랑스의 앙리 베크렐이 방사능을 발견한 것은 1896년으로 그로부터 약 13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그 사이 알게 된 것은 방사능은 반감기에 따라 감쇠해 가기 때문에 그것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 시간 동안 생명과 환경을 어떻게 방사선으로부터 지켜 나갈 것인가가 관건인데, 방사성 물질은 확산시키지 않고 집중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러나 일본 정부는 국내외 많은 반대 의견뿐 아니라, 자국의 어업인·임업인·농업인·현지 시민들과의 약속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고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을 강행했다. ALPS(다핵종제거설비)는 약 60종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면서 기준치 이하 농도로 해서 방출하겠다는 것이다.그러나 일본정부의 방침은 오염수 1회 방출 시에는 농도 규제가 있으나 총량 규제가 없다는 점에서 맹점이 있다. 탄소-14(반감기 5730년), 요오드-129(1570만년), 테크네튬-99(21만년)와 같은 핵종은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해양으로 방출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