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서울 중구 장
작성자  (112.♡.184.58)
서울 중구 장충교회 전경. 세계적인 건축가 가우디가 말하는 가장 안정적인 축조물인 포물선 형태를 띠고 있다. 대예배당은 1200석으로 왼쪽 건물 본관 지하에 있다. 서울 중구 장충교회(장재찬 목사)는 세계적인 건축가의 영감을 토대로 건축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충교회를 설계한 김학철(79) 건축가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인 건축가 아이엠 페이(I.M.Pei)의 회사에서 8년간 근무했다. 아이엠 페이의 회사에서 일하는 것은 모든 건축학도의 꿈이라고 한다.그는 한양대 건축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프랫대학교와 대학원을 나왔다. 주로 미국에서 활동했으며 아이엠 페이에 있을 때 미국 뉴욕 IBM 본사,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미국 뉴욕 제이콥 컨벤션센터 프로젝트에 콘셉트 디자이너로 참여했다.김 건축가는 지금은 목회자다. 뉴욕에서 일할 때 하나님이 천국을 보여주셨고 그 의미를 알고자 미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개신교단 기독교선교연맹(C&MA)의 신학교에 들어갔다. 목회자가 될 생각은 없었지만 태국의 한 선교사가 도와 달라고 해 C&MA 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태국 선교사로 활동했다. 한동대 교수로 지원, 채용됐다. 과목은 건축설계지만 주로 선교사 훈련을 담당했다.그는 현재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인근 민간인 거주 마을에서 7년째 농사를 짓고 있다. 먹거리선교회 대표로도 활동하고 있는 김 건축가를 지난달 31일 장충교회에서 만났다. 세계적인 건축가의 영감을 담다 장충교회는 김 건축가가 2004년 한동대 교수 시절 설계했다. 교회의 디자인 콘셉트는 세계적인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영향을 받았다. 김 건축가는 교수 안식년 때 바르셀로나에 가서 가우디 연구와 보전의 세계적인 권위자 바세고다 노넬과 1년간 교류했다. 장충교회의 아치형이 가우디의 파라볼라(포물선)에서 따왔다. 이 파라볼라는 단순한 수학적 개념의 포물선이 아니라 건축 구조의 미적, 공학적 원리를 말한다. 가우디는 자연을 건축의 스승이라 여기고 건축의 개념을 자연에서 배우고자 했으며 자연스럽게 처지는 줄이나 나뭇가지의 포물선을 이상적인 건축 형태로 생각했다. 중력의 하중이 이상적으로 분산돼 가장 안정적인 축조물이라고 판단했다. 김 건축가는 이 파라볼라를 교회 디자 [연합]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환경부 새 수장이 취임하지도 않았지만, 기존 사업이나 정책의 재검토 요구가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쏟아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환경 정책이 시험대에 오른 셈인데, 조직개편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빗발치는 요구에 발차도 하기 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11일 정부와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오는 15일로 예정돼 있다.이재명 대통령의 기후·에너지 분야 공약을 주도한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거쳐 취임하면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전환, 탈플라스틱, 한반도 생물다양성 복원, 4대강 재자연화 등 기존 정책과는 결을 달리 하는 정책 전환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기후에너지부 출범 등 조직개편도 유동적인데다 아직까지 새 장관이 취임도 하지 않은 상태지만 기존 정책의 전환 요구가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환경공약 1호로 제시한 ‘4대강 재자연화’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금강·영산강 보 처리, 낙동강 보 개방과 취·양수장 개선 등을 약속했지만 지금 국정과제 설계에서는 해당 과제가 보이지 않는다”며 “‘녹조 창궐로 대표되는 4대강사업의 실패는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회재난입으로, 이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되며, 4대강의 자연성 회복은 반드시 국정과제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녹색연합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로 있던 시절, 민주당은 용산 어린이정원 오염 문제, 불법 수의 계약, 석면 문제 등 윤석열 정부 임기 3년 내내 전방위적으로 대응을 했다”며 “이에 국정기획위원회가 용산 어린이정원 폐쇄를 국정과제에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와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등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사업은 ‘국정농단’의 축소판으로, 경제성을 부풀린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99,052 개, 페이지 53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