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홈타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진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한 자체 기술 분석에도 착수했다. 지난달 31일 개인정보위가 딥시크에 보낸 질의서 답변 내용과 점검 결과를 종합해 향후 대응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개인정보위는 7일 브리핑을 열고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 약관 등에 대해 다른 AI 서비스와 비교 분석을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 이용 환경에서 구체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트래픽 등에 대한 기술 분석도 전문기관과 진행 중이다.앞서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출시 직후 딥시크 중국 본사에 해당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 과정에서 데이터(개인정보 포함) 수집·처리 관련 사항을 공식 질의했으나, 아직 답변받지 못했다. 질의 당시 답변 기한을 근무일 기준 2주를 부여했는데, 회신이 오지 않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개인정보위는 그동안 협력 채널을 구축한 영국·프랑스·아일랜드의 개인정보 규제·감독기구와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
삼국시대 신라에서 나온 첫 승려는 남성이 아닌 여성이었다. 일본에서 최초로 출가를 자원한 사람은 여성이었으며, 이들을 지도한 이는 고구려의 비구니였다.출가한 승려 하면 우리는 흔히 남성인 비구를 떠올린다. 성철 스님, 법정 스님 등 이름난 한국의 스님들은 모두 남성이었다. 하지만 한국 불교에서 여성 출가자인 비구니의 역사는 1700년에 이른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파되기 시작한 삼국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비구니들은 역사의 부침 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일제강점기엔 항일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에는 종단 내의 성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1700년 비구니 역사를 촘촘히 복원한 <역사 속 한국 비구니>(민족사)가 출간됐다. 대한불교조계종 전국비구니회 산하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와 전영숙 책임연구원이 함께 쓴 책은 40종이 넘는 고문헌을 검토하고 철저한 조사와 고증을 통해 한국 비구니사를 정리했다.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