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게임추천 서울시가 기초생활수급자 가족에게 서울대공원 입장료를 면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대공원 입장료는 동물원 입장료 5000원(성인 기준), 테마가든 2000원이다.23일 시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와 보훈보상대상자의 서울대공원 입장료 면제에 관한 ‘서울시 도시공원 조례 개정안’을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 서울대공원은 서울시 산하기관으로 경기도 과천에 있다.서울대공원은 현재도 보훈보상 대상자와 그 배우자, 참전용사증 소지자,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 의상자 및 의사자 가족에 대해서는 무료입장을 자체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번 조례개정안이 통과되면 실질적인 혜택은 기초생활수급자에게 돌아간다.서울시는 서울시민이 아니어도 기초생활수급자와 보훈보상대상자 등 조건에 맞으면 입장료 감면혜택도 주는 방안도 추진한다.다만 감면을 추진할 경우 서울시 수익은 다소 줄어든다. 시가 의회에 제출한 비용추계서에는 3월부터 감면혜택이 적용될 경우 올해 7020만원 가량의 입...
공정거래위원회가 오는 26일과 다음달 5일 KT 등 이동통신 3사의 판매장려금 담합 사건에 대한 전원회의를 열고 제재 수위를 결정한다. 통신 3사는 현행법을 따랐을 뿐 담합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공정위가 행정지침을 벗어나는 담합 증거를 포착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앞서 이동통신 3사에 보낸 심사보고서(공소장 격)에서 최대 5조5000억원에 이르는 과징금 부과를 예고한 터라 실제 과징금 부과 액수에 관심이 쏠린다.공정위 “판매장려금 담합”···이통통신 3사 “단통법 준수”공정위는 통신 3사가 2015년부터 번호 이동 순증감 등 실적을 공유하고, 가입자 수를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판매장려금 액수를 조절했다고 보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운영하는 번호이동 상황반을 통해 이런 정보공유와 담합이 이뤄졌다는 게 공정위 판단이다.소비자가 휴대전화를 살 때 받는 지원금은 통신사 공시지원금과 판매·대리점 추가지원금으로 나뉜다...
유럽우주국·겐트대 공동 연구진 강력 수분 흡수 물질 ‘SAP’ 활용‘우주 방사선’ 차단하는 기술 개발 비행체부터 승객들 옷까지 적용 안전한 장거리 유인 비행 큰 역할#우주 개척 시대가 열린 미래, 승객 5000여명을 태운 우주선 아발론호는 ‘터전 2’라는 이름의 행성을 향해 비행 중이다. 승객들의 직업은 작가, 엔지니어, 정원사 등 다양하다. 낯선 곳에 정착해 새 인생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다.승객은 모두 동면 중이다. 생체 활동을 억제해 노화와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굳이 동면까지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터전 2까지 비행 기간이 무려 120년이기 때문이다. 동면 없이는 살아서 도착할 수 없다. 그런데 아발론호에서 사고가 일어난다. 기계 고장으로 승객 중 한 명인 짐(크리스 프랫)이 지구에서 출발한 지 30년 만에 수면 캡슐에서 돌연 깨어난 것이다. 남은 비행 기간은 90년이나 된다. 이대로라면 아발론호 안에서 홀로 삶을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