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레플리카 경남도는 기본형공익직불금·농어업인수당·여성농업인 바우처 등 농가소득 안정을 위한 3개 사업에 올해 3528억 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기본형 공익직불금의 올해 사업비는 2665억 원이다. 농지 면적이 0.1~0.5㏊ 이하인 농가에 지급되는 소농 직불금은 농가당 130만 원이며, 면적직불금 지급단가는 ㏊당 136~215만 원으로 지난해(100만 원~205만 원)보다 5% 정도 인상됐다. 신청 기간은 4월 30일까지이다.농어업인수당의 올해 사업비는 745억 원이다. 도내 농어업 경영체에 등록된 경영주 및 공동 경영주에게 각각 30만 원을 6월 중 지급한다. 지급수단은 시군별 여건에 따라 농협(채움) 카드 포인트, 지역사랑상품권, 현금 계좌이체 등으로 지급한다. 신청 기간은 3월 14일까지이다.여성농업인 바우처 지원사업의 올해 사업비는 118억 원이다. 2017년부터 농촌지역의 여성농업인 건강관리와 문화복지 기회를 확대하고자 추진해 오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때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지시를 받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서버를 확보하려 한 혐의를 받는 정성우 전 국군방첩사령부 1처장이 “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여 전 사령관이 군 철수를 지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 전 처장은 노 전 사령관 지시에 대해서도 “위법이라 판단해 항의했다”고 말했다.9일 정 전 처장 측은 경향신문에 “국회의 계엄해제 의결 소식에도 불구하고 여 전 사령관은 계속 여기저기 전화 통화를 하며 상황 종결을 언급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정 전 처장은 계엄 당일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등 4곳의 전산실을 확보하라’는 지시를 받은 인물이다. 여 전 사령관은 국회에서 계엄해제안이 의결되기 직전에도 정 전 처장에게 ‘서버를 복사하라’고 명령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 전 사령관도 정 전 처장과 여러 차례 통화해 같은 취지의 지시를 내렸다.정 전 처장 측은 계엄해제안이 의결된 후에도 여 전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