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법률사무소 2026년 인간을 달에 보내기 위한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을 이끌던 미국 항공우주국(NASA) 부국장이 자리에서 물러난다. 달보다는 화성 개척에 힘을 쏟을 것을 주장하는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의 행보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NASA는 19일(현지시간) “짐 프리 부국장(사진)이 오는 22일 퇴직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프리 부국장은 1990년 NASA에 엔지니어로 들어와 국제우주정거장(ISS)과 각종 우주선을 개발·관리하는 주요 보직을 거친 뒤 지난해 1월 NASA 2인자 자리에 앉았다.프리 부국장의 퇴직은 정부 교체기의 의례적인 고위직 인사를 넘어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가 미국 주도의 다국적 달 착륙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을 이끌어온 대표적인 인물이기 때문이다.일례로 2020년 10월 미국과 영국, 일본 등 8개국이 서명하면서 시작된 ‘아르테미스 약정’은 현재 한국을 포함해 가입국 규...
지난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사직한 전공의들의 군 입대 시기가 의·정 갈등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방부가 사직한 군 미필 전공의들을 2028년까지 4년에 걸쳐 분산 입영시킨다는 계획을 밝히자 의료계가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원활한 의료인력 수급 등 ‘국방계획’을 이유로 분산 입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반면 사직 전공의들은 입영 시기 결정은 ‘개인의 권리’라며 맞섰다.23일 국방부 설명을 종합하면 정부는 지난해 12월 ‘의무·수의 장교의 선발 및 입영 등에 관한 훈령’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올해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 중인 인원을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사직 전공의 100여명은 지난 22일 서울 용산 국방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국방부가 입영 시기를 결정할 권한까지 빼앗아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훈령 개정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논란이 된 국방부 훈령은 ...
폐렴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휴식을 잘 취하고 있다고 교황청이 밝혔다.교황청은 22일(현지시간) 오전 밤사이 교황이 ‘편히 쉬었다’(rested well)고 성명을 통해 전했다. 이날 성명에는 교황의 건강 상태를 추정할 만한 다른 언급은 없었다.교황은 이달 초부터 기관지염을 앓다 지난 14일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했다. 지난 18일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양쪽 폐에 폐렴이 확인됐다.지난 19일부터는 교황이 회복세를 보인다는 소식이 나왔다. 의료진은 교황이 위중한 정도는 아니지만 치료를 통해 염증 확산 등을 막아야 하는 단계로 보고 있다.교황의 담당의 세르지오 알피에리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교황의 병세가 위험에서 벗어났느냐고요? 아닙니다. 하지만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의 위험이 있느냐고 묻는다면 내 대답은 ‘아니오’입니다”라고 말했다.올해 88세인 교황은 젊은 시절 폐 일부를 절제한 이후 겨울철에는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걸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