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형사전문변호사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 현주소를 보여주는 것은 딥시크만이 아니다.중국의 한 방송국에서 AI 기술로 만든 가상앵커가 뉴스를 진행하며 실수 0건을 기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AI가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진다.저장성 항저우 방송국인 항저우종합채널은 중국 춘절(음력 설) 연휴 기간인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4일까지 자사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항저우뉴스네트워크’ 진행을 AI 앵커 6명에게 맡겼다. AI 앵커들은 자연스럽게 뉴스 진행을 소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심지어 현직 아나운서나 최고 지도자들도 간혹 틀리는 성조·발음 실수가 단 한 건도 없었다.중국 방송국이 AI 앵커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중국중앙TV는 2021년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샤오C’라는 AI 앵커를 선보였다. 이듬해부터 상하이TV의 ‘션유야’, 후난TV의 ‘샤오양’, 베이징TV의 ‘스지엔샤오니’, 저장위성TV의 ‘구샤오위...
군사법원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해 내란 가담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의 보석 신청을 13일 기각했다.중앙지역군사법원은 이날 이 전 사령관에 대한 보석허가 청구 심리를 진행한 뒤 이를 기각했다. 군사법원은 이 전 사령관이 보석으로 풀려나면 관련 증거를 인멸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보석은 구속된 피고인을 일정한 조건 아래서 석방하는 것을 말한다.이날 오전 보석허가 청구 심리에서 이 전 사령관 측은 새로운 논리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할 수 없다”며 “계엄 조치에 따라 국방부 장관의 명령을 받고 병력을 출동시킨 이 전 사령관에 대한 내란죄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달 23일 1차 공판준비기일에서 “계엄이 적법한 절차에 의해 선포됐다고 인식했으며, 명령에 따라 움직였다”고 주장했던 것과 같은 내용이다.반면 군검찰은 “피고인은 구속 이후...